[생글기자 코너] 게임 셧다운제, 긍정적인 효과만 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게임 셧다운제는 청소년의 수면권 보장과 같은 순기능이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풀어줄 여가가 사라지는 부작용도 있다.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을 포기하고 오로지 성적 오르는 것에만 매달리라는 식으로도 비칠 수 있다.
게임 셧다운제 폐지 논의가 최근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셧다운제의 경제적, 사회적 영향과 청소년들이 얻는 이득은 뭘까.
세상은 달라졌다. 어렸을 때 뛰어놀던 골목길은 없어지고, 청소년들은 학원을 찾아다니며 지쳐가고 있다. OECD가 조사한 행복도에서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도는 최하위로 나타났다. 서울 대치동 학원가에선 밤 10시에야 집으로 향하는 학생들이 많다. 심지어 주말에도 학원을 가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게임 셧다운제가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해방구를 막고 있다. 밤 10시가 되면 게임 접속이 자동으로 끊기는 셧다운제 특성상 청소년들이 집에 도착하면 스트레스를 풀 놀이가 없다.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행복도는 떨어지고 우울감은 올라간다. 게임업계에 주는 영향도 크다. 게임 이용자 유입이 감소하면서 매출도 줄 것이다. 이는 게임산업 발전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물론 학습량은 성적으로 직결된다. 성적이 올라가길 바라는 학부모의 마음도 이해한다. 하지만 스트레스 누적이 학교생활 부적응, 우울, 불안,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생각해 봐야 한다. 게임은 청소년이 모이는 공간의 역할도 하고 있는데, 이런 기회가 사라지게 되면 향후 사회에 나가 익혀야 할 소통 능력에도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원만한 사회생활을 하는 데는 개인의 능력 못지않게 대인관계나 소통도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게임 셧다운제는 청소년의 수면권 보장과 같은 순기능이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풀어줄 여가가 사라지는 부작용도 있다.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을 포기하고 오로지 성적 오르는 것에만 매달리라는 식으로도 비칠 수 있다. 청소년이 행복하지 않은 나라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불안과 우울 속에서 하루하루를 살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 마음은 행복할까.
청소년 행복도가 세계 최하위인 나라. 정책당국이 청소년 보호라는 명목으로 규제를 하기보다는 청소년의 꿈을 키우고 스트레스를 풀어 줄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해보는 것은 어떨까. 성적 중심의 입시제도도 바꿔보려는 노력이 있으면 좋겠다. 장지환 생글기자(공항고 1년)
세상은 달라졌다. 어렸을 때 뛰어놀던 골목길은 없어지고, 청소년들은 학원을 찾아다니며 지쳐가고 있다. OECD가 조사한 행복도에서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도는 최하위로 나타났다. 서울 대치동 학원가에선 밤 10시에야 집으로 향하는 학생들이 많다. 심지어 주말에도 학원을 가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게임 셧다운제가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해방구를 막고 있다. 밤 10시가 되면 게임 접속이 자동으로 끊기는 셧다운제 특성상 청소년들이 집에 도착하면 스트레스를 풀 놀이가 없다.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행복도는 떨어지고 우울감은 올라간다. 게임업계에 주는 영향도 크다. 게임 이용자 유입이 감소하면서 매출도 줄 것이다. 이는 게임산업 발전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물론 학습량은 성적으로 직결된다. 성적이 올라가길 바라는 학부모의 마음도 이해한다. 하지만 스트레스 누적이 학교생활 부적응, 우울, 불안,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생각해 봐야 한다. 게임은 청소년이 모이는 공간의 역할도 하고 있는데, 이런 기회가 사라지게 되면 향후 사회에 나가 익혀야 할 소통 능력에도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원만한 사회생활을 하는 데는 개인의 능력 못지않게 대인관계나 소통도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게임 셧다운제는 청소년의 수면권 보장과 같은 순기능이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풀어줄 여가가 사라지는 부작용도 있다.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을 포기하고 오로지 성적 오르는 것에만 매달리라는 식으로도 비칠 수 있다. 청소년이 행복하지 않은 나라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불안과 우울 속에서 하루하루를 살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 마음은 행복할까.
청소년 행복도가 세계 최하위인 나라. 정책당국이 청소년 보호라는 명목으로 규제를 하기보다는 청소년의 꿈을 키우고 스트레스를 풀어 줄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해보는 것은 어떨까. 성적 중심의 입시제도도 바꿔보려는 노력이 있으면 좋겠다. 장지환 생글기자(공항고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