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韓 증시 뒤흔드는 빅테크 규제…"'이곳'으로 피신해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플랫폼 규제가 미국, 중국, 한국 증시를 뒤흔들자 증권가에서는 친환경 관련주에 주목하라고 조언한다. 규제가 아니라 거꾸로 정책 수혜를 입을 수 있는 종목을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안정적인 배당주 역시 '피난처'로 지목된다.
13일 각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규제 리스크를 다룬 리포트를 잇달아 발간했다. 최근 중국 정부 규제로 알리바바, 텐센트 등의 주식이 급락한 데다가 직전 거래일인 지난 10일 미국 법원이 애플의 독점적인 결제 방식에 제동을 걸자 주가가 3.31% 하락해서다. 국내 사정도 녹록치 않다. 여당을 중심으로 플랫폼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다.
증권가에서는 규제 리스크가 한동안 국내 증시를 억누를 거라고 본다. 플랫폼 기업들의 주가가 작년 이후 크게 올라 코스피 상위주로 자리매김했는데 규제 리스크 때문에 잠재돼있던 밸류에이션 부담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카카오 주가는 작년 초부터 10일까지 300% 이상 올랐다. 10일 기준 주가수익비율(PER)는 53.9배다.
여기에 유동성 환경의 변화까지 더해졌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올 상반기부터 경기 회복과 물가 상승 등으로 유동성 정책을 바꿔야 하는 이유가 쌓였고 3분기에는 정책 변화가 진행 중"이라며 “유동성 환경 변화가 펀더멘탈 가정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각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는데 금리 인상은 쌓아놓은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성장주에 특히 불리하다.
10월 국정감사, 내년 3월 대통령 선거 등 굵직한 정치 일정이 줄줄이 예정돼있는 것도 우려를 키운다. 소상공인 등의 표심을 의식해 정치권에서 플랫폼 규제를 공약으로 들고 나올 가능성이 있다.
중소형주, 친환경 테마, 배당주 등이 '피난처'로 제시된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규제 이슈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중소형주와 친환경 테마 및 안정적인 배당 테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긴 호흡에서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은 일부 경기 민간 산업들에 대한 관심도 가질 법하다"고 했다.
해외 증시도 마찬가지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증시 포트폴리오 전략은 당분간 '선별과 압축'"이라며 "시진핑 국가 주석이 주도하는 친환경·국산화 국책산업 중심으로 대응하는 게 안전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의 경우 자국 전기차 생산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을 쏟아내고 있다. 13일 상원, 20일 하원 순서대로 의회 하반기 회기를 재개할 예정인데 빅테크(대형 온라인 플랫폼 기업) 규제안과 더불어 미국산 전기차에 추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지원하는 법안이 본격 논의될 전망이다. 미 민주당은 제너럴일렉트릭(GE)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 업계 빅3 기업이 판매하는 전기차에 대해 세금 공제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업계에서는 최근 수소 관련주로 투자 자금이 몰리는 것도 이 같은 규제 리스크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정책과 싸우는 대신 정책 수혜주에 투자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13일 각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규제 리스크를 다룬 리포트를 잇달아 발간했다. 최근 중국 정부 규제로 알리바바, 텐센트 등의 주식이 급락한 데다가 직전 거래일인 지난 10일 미국 법원이 애플의 독점적인 결제 방식에 제동을 걸자 주가가 3.31% 하락해서다. 국내 사정도 녹록치 않다. 여당을 중심으로 플랫폼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다.
증권가에서는 규제 리스크가 한동안 국내 증시를 억누를 거라고 본다. 플랫폼 기업들의 주가가 작년 이후 크게 올라 코스피 상위주로 자리매김했는데 규제 리스크 때문에 잠재돼있던 밸류에이션 부담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카카오 주가는 작년 초부터 10일까지 300% 이상 올랐다. 10일 기준 주가수익비율(PER)는 53.9배다.
여기에 유동성 환경의 변화까지 더해졌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올 상반기부터 경기 회복과 물가 상승 등으로 유동성 정책을 바꿔야 하는 이유가 쌓였고 3분기에는 정책 변화가 진행 중"이라며 “유동성 환경 변화가 펀더멘탈 가정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각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는데 금리 인상은 쌓아놓은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성장주에 특히 불리하다.
10월 국정감사, 내년 3월 대통령 선거 등 굵직한 정치 일정이 줄줄이 예정돼있는 것도 우려를 키운다. 소상공인 등의 표심을 의식해 정치권에서 플랫폼 규제를 공약으로 들고 나올 가능성이 있다.
중소형주, 친환경 테마, 배당주 등이 '피난처'로 제시된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규제 이슈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중소형주와 친환경 테마 및 안정적인 배당 테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긴 호흡에서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은 일부 경기 민간 산업들에 대한 관심도 가질 법하다"고 했다.
해외 증시도 마찬가지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증시 포트폴리오 전략은 당분간 '선별과 압축'"이라며 "시진핑 국가 주석이 주도하는 친환경·국산화 국책산업 중심으로 대응하는 게 안전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의 경우 자국 전기차 생산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을 쏟아내고 있다. 13일 상원, 20일 하원 순서대로 의회 하반기 회기를 재개할 예정인데 빅테크(대형 온라인 플랫폼 기업) 규제안과 더불어 미국산 전기차에 추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지원하는 법안이 본격 논의될 전망이다. 미 민주당은 제너럴일렉트릭(GE)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 업계 빅3 기업이 판매하는 전기차에 대해 세금 공제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업계에서는 최근 수소 관련주로 투자 자금이 몰리는 것도 이 같은 규제 리스크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정책과 싸우는 대신 정책 수혜주에 투자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