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헝다 사태'로 불리는 중국 부동산 기업 헝다그룹의 파산 우려는 전세계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켰다. 그러나 헝다그룹이 일부 채권에 대한 이자지급을 약속하면서 우려의 기간은 길지 않았다.

증권 전문가들은 이제부터 고민해야할 것은 헝다 사태가 투자자들에게 주는 시그널이라고 지적했다. 다음달 중국 시장은 경제 전망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9월 들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많이 노출된 키워드는 단연 헝다였다. 중국 대표 부동산 기업인 헝다그룹의 채권 디폴트 및 파산 우려가 확대되면서 중국 내 시스템적 금융리스크 발생 가능성까지 제시됐다.

그러나 충격은 제한적이었고 단기적이었다. 부동산·금융 업종 위주로 변동성이 확대되기는 했지만 다른 업종에 대한 충격은 크지 않았고 헝다그룹이 일부 채권에 대한 이자지급을 약속한 이후 헝다그룹의 주가와 채권 가격 모두 강세 전환됐다.

정정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헝다 사태가 단기 변동성 확대 시 빌미가 될 수는 있겠지만 중국 전반적인 리스크로 보기에는 과도하다"며 "특히 최근 글로벌 주식시장의 조정은 단순히 헝다 사태가야기한 것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 관련 내용에 초점이 맞춰졌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관망세가 확대됐고 한국, 중국 등 주요 아시아 국가에서 추석 등 연휴를 앞두고 현금 수요가 확대되는 시기가 겹치면서 변동성이 확대된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지표 역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환율은 안정적인 흐름이 이어졌고 신용부도스와프(CDS)도 소폭 상승하기는 했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중국 경제를 대변하는 10년물 국채금리도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헝다 사태로 인해 시장에 대한 신뢰는 일부 훼손됐지만 중국 경제 전반적으로 봤을 때는 큰 우려사항이 아닌 것으로 해석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10월 중국 시장은 헝다 사태보다 3분기 경제성장률과 코로나19 확산세에 집중할 전망이다. 이미 7~8월 주요 경제지표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시장의 눈높이가 낮아져 있는 상황이다.

내달 18일에는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 발표가 예정돼 있다. 코로나19 이후 중국 경제의 회복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는 존재하지만 뚜렷한 반등세는 부재하다. 기저효과를 포함한 1분기 경제성장률이 18.3%을 기록한 이후 눈에 띄게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7~8월 경제 지표만 고려해도 3분기 경제성장률의 부진은 일정 부분 시장이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시장은 점차 중국 정부의 ‘저성장 국면 대응 전략’을 이해해갈 것이며 경제 성장에 대한 눈높이는 낮춰갈 것이다. 경제 성장에 대한 시장 기대가 낮아지면 오히려 실제치가 예상치를 넘어서는 서프라이즈 발생 가능성은 반대로 높아진다.

10월은 중국 대면 소비에서 가장 중요한 시즌으로 코로나19 확산세의 여부와 강도가 주식시장의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다시 가을에 접어들면서 코로나19의 재창궐 가능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10월에는 중국 최대 연휴인 국경절 연휴와 함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D-100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점차 중국 내 동계올림픽 분위기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다. 도쿄올림픽과 같은 무관중 대회를 연이어 개최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코로나19를 안정화시키고 대면 경제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중국의 코로나19 확진자수도 2021년 들어 최대 150명 수준에 불과하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 한해 소수의 확진자만 발생하더라도 즉시 통제조치와 함께 전수조사를 진행하는 등 심리적으로 대면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는 조치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 회복이 더딘 것으로 판단한다.

정 연구원은 "대면 경제의 활성화가 급선무이기 때문에 10월부터는 중국 정부의 이러한 기조를 상대적으로 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며 "소비심리 자극을 위해서라도 3분기 말~4분기 초부터는 플랫폼 등 산업에 대한 규제 빈도도 과거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