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89% "중장년 인력관리 힘들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년 60세 의무화' 실태조사
59%가 임금피크제 등 도입
59%가 임금피크제 등 도입
정년 60세가 의무화된 지 5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중장년 인력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399개 대·중소기업을 상대로 ‘중장년 인력관리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발표했다.
설문에서 정년 60세 의무화로 중장년 인력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응답이 89.3%에 달했다. ‘어려움이 없다’는 응답은 10.7%에 그쳤다. 가장 많이 꼽은 어려움은 ‘높은 인건비’(47.8%)였다. ‘신규 채용 부담’(26.1%), ‘저성과자 증가’(24.3%) 등이 뒤를 이었다.
정년 60세 의무화와 관련해 대응 조치를 취한 기업은 59.0%였다. 구체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66.1%) △근로시간 단축·조정(21.4%) △조기퇴직 도입(17.5%) 등이다. 젊은 세대 직원과 비교해 중장년 인력의 업무 능력 및 생산성이 어느 정도인지 묻는 질문엔 ‘비슷하다’는 답이 56.3%로 가장 많았다. ‘낮다’는 응답이 25.3%인 데 비해 ‘높다’는 18.4%에 그쳤다. 상의 관계자는 “중장년 인력이 생산성 대비 높은 임금을 받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근속 1~3년차(25~29세)의 연간 임금은 평균 3236만원, 3~5년차(30~34세)는 4006만원인 것에 비해 25년 이상 근속한 55~59세 근로자의 임금은 평균 8010만원에 달했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연공서열식 인사체계를 해결하지 않으면 정년 연장으로 인한 청년 고용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년 65세 연장’에 대해선 기업의 71.7%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기존 인력 고용 유지에 악영향을 미칠 것(32.3%) △신규 채용 규모가 줄 것(17.0%) △신규 채용 규모를 늘리는 데 걸림돌이 될 것(12.7%) 등의 답변이 주를 이뤘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설문에서 정년 60세 의무화로 중장년 인력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응답이 89.3%에 달했다. ‘어려움이 없다’는 응답은 10.7%에 그쳤다. 가장 많이 꼽은 어려움은 ‘높은 인건비’(47.8%)였다. ‘신규 채용 부담’(26.1%), ‘저성과자 증가’(24.3%) 등이 뒤를 이었다.
정년 60세 의무화와 관련해 대응 조치를 취한 기업은 59.0%였다. 구체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66.1%) △근로시간 단축·조정(21.4%) △조기퇴직 도입(17.5%) 등이다. 젊은 세대 직원과 비교해 중장년 인력의 업무 능력 및 생산성이 어느 정도인지 묻는 질문엔 ‘비슷하다’는 답이 56.3%로 가장 많았다. ‘낮다’는 응답이 25.3%인 데 비해 ‘높다’는 18.4%에 그쳤다. 상의 관계자는 “중장년 인력이 생산성 대비 높은 임금을 받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근속 1~3년차(25~29세)의 연간 임금은 평균 3236만원, 3~5년차(30~34세)는 4006만원인 것에 비해 25년 이상 근속한 55~59세 근로자의 임금은 평균 8010만원에 달했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연공서열식 인사체계를 해결하지 않으면 정년 연장으로 인한 청년 고용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년 65세 연장’에 대해선 기업의 71.7%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기존 인력 고용 유지에 악영향을 미칠 것(32.3%) △신규 채용 규모가 줄 것(17.0%) △신규 채용 규모를 늘리는 데 걸림돌이 될 것(12.7%) 등의 답변이 주를 이뤘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