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을 움직이는 ‘삼각 황금률 경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선도기업들은 최근 전통적인 제조업을 중시할 뿐만 아니라 빅테크 이후 새롭게 주력산업으로 떠오를 새로운 ‘알파 라이징 업종’에 관심을 갖는다. BOP 비즈니스와 연관된 공생업종도 주목한다. 이들 세 분야는 친인간적·친환경적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한경ESG] ESG와 경제
최근 들어 글로벌 선도 기업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적용될 평가 잣대에 맞춰 새로운 전략을 세우느라 부심하고 있다. 대부분 선도 기업은 코로나19 사태를 ‘대도약의 기회’로 삼고, 이를 위해 도전적 목표 설정, 신사업 조기 가시화, 가치 있는 제3의 섹터 등을 핵심 경영 전략으로 잡은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기업 생존에서 지속 가능 경영이 한층 중요해지고 있다. 국제사회가 지속 가능 경영에 동참하지 않는 기업에 불이익을 가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국내 기업도 이러한 경향을 수용해 새로운 경영 표준을 정하고 속속 경영 전략에 반영하고 있다.
각국의 산업 정책도 환경 변화에 맞춰 우선순위가 바뀌고 있다. 한때 정보 기술(IT) 산업에 주력했던 각국의 산업 정책은 금융 위기 이후 제조업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 보인다. 같은 제조업이라도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수출업종을 중심으로 각종 지원을 통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빅테크 규제 움직임 강화
오랜만에 ‘르네상스’라는 용어가 붙을 정도로 각국이 제조업을 중시하는 데에는 거시 정책 목표를 단순히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체감 경기 개선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처럼 물가가 추세적으로 안정된 시대에 체감 경기를 개선한다는 것은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지난 10년간 주력 산업이었던 IT산업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 IT산업은 네트워크를 깔수록 생산성이 증가하는 ‘수확 체증의 법칙’이 적용되기에 이 산업의 주도로 경기가 회복될지라도 일자리, 특히 청년층의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는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주력 산업으로 떠오른 빅테크 기업에 대해서도 벌써부터 규제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이후 요즘 가장 뜨거운 신조어가 ‘테크래시(techlash)’다. 테크래시는 ‘기술(technology)’과 ‘반발(backlash)’의 합성어로, 빅테크에 대한 반발과 빅테크의 반발을 모두 포함하는 쌍방향 의미의 용어다.
이를 주도하는 국가는 중국이다. 6년 전 미국과의 경제 패권을 겨냥한 ‘제조업 2025’를 추진하면서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기술 육성에 아낌없는 지원을 해온 중국이 2021년 3월에 열린 전인대(전국인민대표자대회) 이후 바뀌었다. 해외 상장 제한, 민간 기업 빅데이터 공유, 반독점법 적용 범위 확대 등을 통해 빅테크 기업을 이중 삼중으로 옥죄고 있다. 미국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연방거래위원회(FTC) 수장에 ‘아마존 킬러’로 알려진 리나 칸을 임명한 이후 경쟁사 킬러 인수 규제, 핵심 인력 빼내기 제한, 망 중립성 확보, 제품 수리권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날로 심해지는 빅테크 기업의 독점 행위를 규제해 자국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려는 의도가 강하다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 자체적으로 기업 권력이 국가 권력을 넘보는 빅테크 기업의 독점력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크다. 국민(중국의 경우 인민) 화합 차원에서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횡재 효과(bonanza effect)’를 누린 빅테크의 이익을 활용해 ‘상흔 효과(scarring effect)’로 거리로 내몰리는 소상공인과 저소득층을 지원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다른 국가도 마찬가지다.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 글로벌 최저 법인 세율 15% 부과안에 이를 주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넘어 130개국이 합의한 것도 이 때문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테크래시가 갈수록 범세계적 성격을 띰에 따라 디지털 뉴라운드 협상이 전개될 움직임이 고개를 들고 있는 점이다. 디지털 뉴라운드 협상은 디지털 경쟁 정책 라운드(DCR‧빅테크 독점 규제), 디지털 기술 라운드(DTR‧해킹과 랜섬웨어 차단), 디지털 노동 라운드(DBR‧빈곤층 고용 차별 금지), 디지털 환경 라운드(DGR‧무관세 모라토리움 방지) 등 이른바 ‘4DR’다.
글로벌 선도 기업이 전통적 제조업을 중시할 뿐 아니라 빅테크 산업 이후 새롭게 주력 산업으로 떠오를 ‘알파 라이징 업종’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알파 라이징 업종은 현존하는 기업 이외라는 점에서 ‘알파’가, 위기 이후 적용될 새로운 평가 잣대에 따라 부각된다는 의미에서 ‘라이징’이 붙은 용어다.
함께 가는 제3의 길, 임팩트 투자
코로나19 사태 이후 K자형 양극화 구조가 더 심해졌다. 이 때문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이드 섀플리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명예교수와 앨빈 로스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의 공생적 게임이론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섀플리-로스의 공생적 게임이론을 기업 경영에 접목하는 일환으로 글로벌 선도 기업은 새로운 사업 모델로 BOP(Bottom Of the Pyramid), 즉 빈곤층 대상의 비즈니스를 주목하고 있다.
수익과 빈곤층 자립 기반 조성을 동시에 목표로 하는 BOP 비즈니스뿐 아니라 최근 들어 동반자 관계 설정, 각종 기부 등을 통해 중소기업, 저소득층과 함께 가는 제3의 길인 ’임팩트 경영‘에 주력하고 있다. ‘임팩트, 즉 empact’란 감정이입을 뜻하는 ‘empathy’와 사회적 연대를 나타나는 ‘pact’가 결합된 용어로 사회적 연대 경영을 뜻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행하는 ‘Empact ESG(환경‧사회적 가치‧지배구조)’가 대표적 예다.
기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글로벌 선도 기업은 전통적 제조업과 알파 라이징 업종, 섀플리-로스 공생 업종 간 ‘3 대 4 대 3’ 혹은 ‘4 대 4 대 2’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 등은 글로벌 선도 기업의 이 같은 경영 원칙을 ‘삼각 황금률 경영(triangle golden rule management)’이라 부른다.
주목해야 할 것은 글로벌 선도 기업의 ‘삼각 황금률 경영’에서 중시하는 업종이 친인간적이고 친환경적이라는 면에서 공통적이라는 점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돈을 가장 많이 번 워런 버핏은 이 점을 중시해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글로벌 선도 기업의 이 같은 경영과 버핏의 신투자 기법은 국내 기업인과 투자자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한국 부자들의 공감도도 상당한 수준까지 와 있다.
한상춘 국제금융 대기자 겸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기업 생존에서 지속 가능 경영이 한층 중요해지고 있다. 국제사회가 지속 가능 경영에 동참하지 않는 기업에 불이익을 가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국내 기업도 이러한 경향을 수용해 새로운 경영 표준을 정하고 속속 경영 전략에 반영하고 있다.
각국의 산업 정책도 환경 변화에 맞춰 우선순위가 바뀌고 있다. 한때 정보 기술(IT) 산업에 주력했던 각국의 산업 정책은 금융 위기 이후 제조업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 보인다. 같은 제조업이라도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수출업종을 중심으로 각종 지원을 통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빅테크 규제 움직임 강화
오랜만에 ‘르네상스’라는 용어가 붙을 정도로 각국이 제조업을 중시하는 데에는 거시 정책 목표를 단순히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체감 경기 개선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처럼 물가가 추세적으로 안정된 시대에 체감 경기를 개선한다는 것은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지난 10년간 주력 산업이었던 IT산업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 IT산업은 네트워크를 깔수록 생산성이 증가하는 ‘수확 체증의 법칙’이 적용되기에 이 산업의 주도로 경기가 회복될지라도 일자리, 특히 청년층의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는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주력 산업으로 떠오른 빅테크 기업에 대해서도 벌써부터 규제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이후 요즘 가장 뜨거운 신조어가 ‘테크래시(techlash)’다. 테크래시는 ‘기술(technology)’과 ‘반발(backlash)’의 합성어로, 빅테크에 대한 반발과 빅테크의 반발을 모두 포함하는 쌍방향 의미의 용어다.
이를 주도하는 국가는 중국이다. 6년 전 미국과의 경제 패권을 겨냥한 ‘제조업 2025’를 추진하면서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기술 육성에 아낌없는 지원을 해온 중국이 2021년 3월에 열린 전인대(전국인민대표자대회) 이후 바뀌었다. 해외 상장 제한, 민간 기업 빅데이터 공유, 반독점법 적용 범위 확대 등을 통해 빅테크 기업을 이중 삼중으로 옥죄고 있다. 미국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연방거래위원회(FTC) 수장에 ‘아마존 킬러’로 알려진 리나 칸을 임명한 이후 경쟁사 킬러 인수 규제, 핵심 인력 빼내기 제한, 망 중립성 확보, 제품 수리권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날로 심해지는 빅테크 기업의 독점 행위를 규제해 자국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려는 의도가 강하다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 자체적으로 기업 권력이 국가 권력을 넘보는 빅테크 기업의 독점력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크다. 국민(중국의 경우 인민) 화합 차원에서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횡재 효과(bonanza effect)’를 누린 빅테크의 이익을 활용해 ‘상흔 효과(scarring effect)’로 거리로 내몰리는 소상공인과 저소득층을 지원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다른 국가도 마찬가지다.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 글로벌 최저 법인 세율 15% 부과안에 이를 주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넘어 130개국이 합의한 것도 이 때문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테크래시가 갈수록 범세계적 성격을 띰에 따라 디지털 뉴라운드 협상이 전개될 움직임이 고개를 들고 있는 점이다. 디지털 뉴라운드 협상은 디지털 경쟁 정책 라운드(DCR‧빅테크 독점 규제), 디지털 기술 라운드(DTR‧해킹과 랜섬웨어 차단), 디지털 노동 라운드(DBR‧빈곤층 고용 차별 금지), 디지털 환경 라운드(DGR‧무관세 모라토리움 방지) 등 이른바 ‘4DR’다.
글로벌 선도 기업이 전통적 제조업을 중시할 뿐 아니라 빅테크 산업 이후 새롭게 주력 산업으로 떠오를 ‘알파 라이징 업종’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알파 라이징 업종은 현존하는 기업 이외라는 점에서 ‘알파’가, 위기 이후 적용될 새로운 평가 잣대에 따라 부각된다는 의미에서 ‘라이징’이 붙은 용어다.
함께 가는 제3의 길, 임팩트 투자
코로나19 사태 이후 K자형 양극화 구조가 더 심해졌다. 이 때문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이드 섀플리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명예교수와 앨빈 로스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의 공생적 게임이론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섀플리-로스의 공생적 게임이론을 기업 경영에 접목하는 일환으로 글로벌 선도 기업은 새로운 사업 모델로 BOP(Bottom Of the Pyramid), 즉 빈곤층 대상의 비즈니스를 주목하고 있다.
수익과 빈곤층 자립 기반 조성을 동시에 목표로 하는 BOP 비즈니스뿐 아니라 최근 들어 동반자 관계 설정, 각종 기부 등을 통해 중소기업, 저소득층과 함께 가는 제3의 길인 ’임팩트 경영‘에 주력하고 있다. ‘임팩트, 즉 empact’란 감정이입을 뜻하는 ‘empathy’와 사회적 연대를 나타나는 ‘pact’가 결합된 용어로 사회적 연대 경영을 뜻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행하는 ‘Empact ESG(환경‧사회적 가치‧지배구조)’가 대표적 예다.
기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글로벌 선도 기업은 전통적 제조업과 알파 라이징 업종, 섀플리-로스 공생 업종 간 ‘3 대 4 대 3’ 혹은 ‘4 대 4 대 2’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 등은 글로벌 선도 기업의 이 같은 경영 원칙을 ‘삼각 황금률 경영(triangle golden rule management)’이라 부른다.
주목해야 할 것은 글로벌 선도 기업의 ‘삼각 황금률 경영’에서 중시하는 업종이 친인간적이고 친환경적이라는 면에서 공통적이라는 점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돈을 가장 많이 번 워런 버핏은 이 점을 중시해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글로벌 선도 기업의 이 같은 경영과 버핏의 신투자 기법은 국내 기업인과 투자자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한국 부자들의 공감도도 상당한 수준까지 와 있다.
한상춘 국제금융 대기자 겸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