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4.4% 줄어…80대가 자살률 가장 높아
작년 극단적 선택으로 1만3천195명 숨져…코로나19로 소폭 감소
지난해 극단적인 선택으로 사망한 인원이 전년도와 비교해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자살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 관련 대책을 추진하고, 자살 예방 기반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2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통계청은 이날 '2020년 사망원인통계'를 발표하면서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가 2019년보다 604명(4.4%) 감소한 1만3천19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월별 사망자 수를 전년도와 비교해보면, 2월(2.3%), 6월(2.4%), 8월(2.9%)에 사망자 수가 일부 늘었으나, 그 외에는 대부분 감소했다.

10만명당 자살 사망자 수(자살률)는 80대가 62.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70대(38.8명), 50대(30.5명), 60대(30.1명) 순으로 나타났다.

40대 이하의 경우 모두 30명 이하로 집계됐으며 40대(29.2명), 30대(27.1명), 20대(21.7명), 10대(6.5명) 순으로 이어졌다.

복지부는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 감소 원인으로 '코로나19 영향'을 꼽았다.

복지부는 "전문가에 따르면, 감염병, 지진, 전쟁, 테러 등 국가적 재난 시기에는 국민적 단합과 사회적 긴장으로 인해 일정 기간 자살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전년도와 비교해 유명인의 자살과 그로 인한 모방 자살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던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보인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자살률이 소폭 감소했지만, OECD 국가 중에서는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이다.

OECD 통계 결과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우리나라의 10만명당 자살인구는 23.5명으로, OECD의 평균 자살률 10.9명의 두 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 6월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자살예방강화대책'을 발표했으며, 복지부를 비롯한 관계부처와 17개 시도가 함께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블루'라고 일컬어지는 우울증에 대응하기 위해 심리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우울증 의심자를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하는 사후관리도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자살예방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자살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과 수단, 유해 정보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자살예방상담전화(☎1393) 인력도 지난해 26명에서 올해 57명까지로 늘렸다.

그 밖에 비정신과의원 환자 중 자살 고위험군을 선별해서 정신건강의학과로 연결해주는 "동네의원-정신의료기관 치료 연계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자살 시도자 및 유가족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자살은 충분히 예방 가능한 사회적 문제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보내는 작은 관심이 그 첫걸음"이라며 "정부도 자살예방 기반을 강화하고, 고위험군에 대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작년 극단적 선택으로 1만3천195명 숨져…코로나19로 소폭 감소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