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코로나용 타미플루 출시 목표…MSD, 중증 위험 낮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류는 곧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을 끝내기 위한 모든 도구를 갖추게 된다. 백신과 마스크, 신속한 검사, 항체치료제 그리고 먹는 약이다."
세계적 의학연구기관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의 에릭 토폴 소장은 3일 이렇게 밝혔다. MSD와 리지백바이오의 몰누피라비르 등 먹는 약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라고 판단해서다.
지난해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와 항체치료제가 개발됐지만 이들 주사를 맞으려면 병원에 입원해야 한다. 증상이 심한 환자만 선별적으로 치료 받을 수 있다. 먹는 약이 나오면 모든 환자가 감염 초기 치료 대상이 된다. 인명 피해를 줄이는 것은 물론 전파를 차단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코로나19 대응 방식을 완전히 바꿀 것이란 평가다.
사망 위험은 크게 갈렸다. 몰누피라비르를 먹은 환자 중 29일 안에 사망한 사람은 없었지만 가짜약을 먹은 환자는 8명 숨졌다. 만 60세 이상 고령층은 물론 비만·당뇨·심장병 환자도 임상시험에 포함한 결과다. 델타 변이와 감마, 뮤 변이 환자 비율도 80%로 비교적 많았다.
당초 MSD는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155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이번 중간 분석에 포함된 사람은 절반 밖에 되지 않는다. 결과를 받아든 미 식품의약국(FDA)은 임상시험을 멈추고 사용승인 절차에 들어가라고 권고했다. 약효를 확인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MSD는 2주 안에 긴급사용승인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르면 올해 말 사용승인 절차가 마무리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앤서니 파우치 미 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장은 "데이터가 상당히 인상적"이라며 "구체적 일정을 밝힐 수는 없지만 FDA가 가능한 한 빨리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했다.
핵산 구성성분(리보뉴클레오시드)과 유사한 화합물을 투여해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방식이다. 동물시험에선 예방 치료는 물론 전파 차단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자는 매일 두 차례 캡슐 형태의 알약을 4개 먹어야 한다. 5일 간 40개 알약을 복용하는 데 드는 비용은 700달러 정도다.
백신은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확산을 막는 방패다. 확진 규모를 줄이고 치사율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되지만 이미 감염된 사람에겐 효과를 내지 못한다. 먹는 약이 개발되면 인류는 코로나19와 싸울 수 있는 강력한 창을 갖게 된다. 경증 외래 환자에게 바로 투여해 증상을 줄이고 항체치료제 등을 추가로 쓸 수 있다. 기존 주사제에 비해 가격도 저렴하다.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는 지난해 출시됐다. 항체치료제도 나왔지만 모두 주사제다. 입원 환자에게만 쓸 수 있는데다 몸 속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데에는 큰 효과를 내지 못한다. 입원까지 시간이 걸려 조기 치료가 힘들다는 한계도 있다.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할 것이라고 기대를 모았던 렘데시비르가 입원 기간을 15일에서 11일로 단축하는 데 그쳤던 이유다.
로버트 데이비스 MSD 최고경영자(CEO)는 "몰누피라비르가 코로나19와 싸우는 인류에 강력한 돌파구를 만들 것"이라고 했다.
MSD는 올해 1000만명이 복용할 수 있는 치료제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중 미국 정부가 확보한 물량은 170만명분이다. MSD는 저소득 및 중위소득 국가 100여곳에서 몰누피라비르를 공급하기 위한 비독점 라이센스 계약도 맺을 계획이다. 각국의 승인 속도를 높이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서다.
후속 치료제도 준비중이다. 화이자는 인간면역결핍치료제(HIV) 성분인 리토나비르를 이용한 항바이러스제를 코로나19 치료용으로 개발하고 있다. 외래 환자 대상 1차 임상 3상 시험이 이달 중 끝날 계획이다. 로슈도 아테아바이오와 손잡고 C형 간염 치료제 후보물질을 코로나19 치료용도로 개발하고 있다. 다음달 임상 3상 시험이 끝난다.
먹는 약이 출시되면 코로나19 조기 진단 시스템이 더 중요해질 것이란 평가다. 증상 발생 5일 안에 투여해야 약효를 끌어올릴 수 있어서다. 미국에선 원격의료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프레드허친슨 암연구센터의 엘리자베스 듀크 연구책임자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증상을 보이고 양성 판정을 받은 지 24시간 안에 알약을 복용토록 하려면 원격의료 등을 더 많이 사용해야 할 것"이라며 "신종플루 땐 (환자가 병원을 찾는 데 시간이 걸려) 타미플루를 48시간 안에 투여하지 못해 치료제 사용에 제약이 컸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세계적 의학연구기관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의 에릭 토폴 소장은 3일 이렇게 밝혔다. MSD와 리지백바이오의 몰누피라비르 등 먹는 약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라고 판단해서다.
지난해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와 항체치료제가 개발됐지만 이들 주사를 맞으려면 병원에 입원해야 한다. 증상이 심한 환자만 선별적으로 치료 받을 수 있다. 먹는 약이 나오면 모든 환자가 감염 초기 치료 대상이 된다. 인명 피해를 줄이는 것은 물론 전파를 차단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코로나19 대응 방식을 완전히 바꿀 것이란 평가다.
몰루피라비르 복용 29일 내 사망 '제로'
세계 첫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은 몰누피라비르다. 예방 효과는 50% 정도다. 감염된 지 5일이 지나지 않은 환자에게 투여했더니 29일 후 입원치료 받은 비율이 7.3% 였다. 같은 방식으로 가짜약을 복용한 환자는 14.1%가 입원 치료를 받았다.사망 위험은 크게 갈렸다. 몰누피라비르를 먹은 환자 중 29일 안에 사망한 사람은 없었지만 가짜약을 먹은 환자는 8명 숨졌다. 만 60세 이상 고령층은 물론 비만·당뇨·심장병 환자도 임상시험에 포함한 결과다. 델타 변이와 감마, 뮤 변이 환자 비율도 80%로 비교적 많았다.
당초 MSD는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155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이번 중간 분석에 포함된 사람은 절반 밖에 되지 않는다. 결과를 받아든 미 식품의약국(FDA)은 임상시험을 멈추고 사용승인 절차에 들어가라고 권고했다. 약효를 확인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MSD는 2주 안에 긴급사용승인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르면 올해 말 사용승인 절차가 마무리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앤서니 파우치 미 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장은 "데이터가 상당히 인상적"이라며 "구체적 일정을 밝힐 수는 없지만 FDA가 가능한 한 빨리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했다.
치료제 올인한 백신강호 'MSD'
MSD는 세계 3대 백신 회사로 꼽힌다. 하지만 올해 1월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했다. 먹는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5월 MSD는 리지백과 손을 잡고 몰누피라비르 개발권을 취득했다. 독감 치료제로 개발하던 항바이러스제를 코로나19 치료용으로 바꿨다.핵산 구성성분(리보뉴클레오시드)과 유사한 화합물을 투여해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방식이다. 동물시험에선 예방 치료는 물론 전파 차단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자는 매일 두 차례 캡슐 형태의 알약을 4개 먹어야 한다. 5일 간 40개 알약을 복용하는 데 드는 비용은 700달러 정도다.
백신은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확산을 막는 방패다. 확진 규모를 줄이고 치사율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되지만 이미 감염된 사람에겐 효과를 내지 못한다. 먹는 약이 개발되면 인류는 코로나19와 싸울 수 있는 강력한 창을 갖게 된다. 경증 외래 환자에게 바로 투여해 증상을 줄이고 항체치료제 등을 추가로 쓸 수 있다. 기존 주사제에 비해 가격도 저렴하다.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는 지난해 출시됐다. 항체치료제도 나왔지만 모두 주사제다. 입원 환자에게만 쓸 수 있는데다 몸 속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데에는 큰 효과를 내지 못한다. 입원까지 시간이 걸려 조기 치료가 힘들다는 한계도 있다.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할 것이라고 기대를 모았던 렘데시비르가 입원 기간을 15일에서 11일로 단축하는 데 그쳤던 이유다.
로버트 데이비스 MSD 최고경영자(CEO)는 "몰누피라비르가 코로나19와 싸우는 인류에 강력한 돌파구를 만들 것"이라고 했다.
백신 확보 전쟁서 치료제 전쟁으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는 병원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저개발국가 등이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란 평가다. 지난해 각국 정부가 펼쳤던 '백신 확보' 전쟁은 '먹는 약 확보' 전쟁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MSD는 올해 1000만명이 복용할 수 있는 치료제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중 미국 정부가 확보한 물량은 170만명분이다. MSD는 저소득 및 중위소득 국가 100여곳에서 몰누피라비르를 공급하기 위한 비독점 라이센스 계약도 맺을 계획이다. 각국의 승인 속도를 높이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서다.
후속 치료제도 준비중이다. 화이자는 인간면역결핍치료제(HIV) 성분인 리토나비르를 이용한 항바이러스제를 코로나19 치료용으로 개발하고 있다. 외래 환자 대상 1차 임상 3상 시험이 이달 중 끝날 계획이다. 로슈도 아테아바이오와 손잡고 C형 간염 치료제 후보물질을 코로나19 치료용도로 개발하고 있다. 다음달 임상 3상 시험이 끝난다.
먹는 약이 출시되면 코로나19 조기 진단 시스템이 더 중요해질 것이란 평가다. 증상 발생 5일 안에 투여해야 약효를 끌어올릴 수 있어서다. 미국에선 원격의료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프레드허친슨 암연구센터의 엘리자베스 듀크 연구책임자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증상을 보이고 양성 판정을 받은 지 24시간 안에 알약을 복용토록 하려면 원격의료 등을 더 많이 사용해야 할 것"이라며 "신종플루 땐 (환자가 병원을 찾는 데 시간이 걸려) 타미플루를 48시간 안에 투여하지 못해 치료제 사용에 제약이 컸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