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육군 '아미 타이거' 불편했나…"남조선 평화 타령은 속임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 대외선전매체 ‘메아리’는 5일 ‘대화와 평화의 진짜 의미는’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싣고 “최근 남조선 군부가 무모한 군사적 대결 책동에 계속 광분하고 있는 사실은 그들이 읊조린 '대화'와 '평화'타령의 진정성 여부를 다시금 가늠케 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남조선 군부처럼 이 시각도 오직 동족을 해치기 위해 대결의 칼을 부지런히 갈고 있는 데야 어떻게 대화와 평화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겠는가”라 되물으며 “앞에서는 억지웃음을 짓고 돌아앉아서는 동족을 해치기 위한 무력증강과 군비확장, 전쟁연습에 매달리는 남조선 군부의 행태는 오늘 조선반도(한반도)의 평화를 파괴하는 전쟁사환군, 평화교란자가 과연 누구인가를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대외선전매체 ‘통일의 메아리’는 이날 리철룡 조국통일연구원 연구사의 기고문을 싣고 “외세를 찾아다니며 북남 관계 문제들을 누누이 설명하고 민족 내부 문제에 대한 '승인'을 구걸해왔다”며 한국이 미국의 눈치를 본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남 관계를 발전시키자면 남조선 당국이 민족자주의 입장을 확고히 견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국이) 민족 내부 문제에 대한 외세의 간섭을 허용하면 오히려 복잡성만 조성되고 언제가도 민족 문제를 우리의 의사와 이익에 맞게 해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국을 겨냥해 이중기준을 철회하고 대북 적대시 정책을 폐기하라는 조건을 언급한데 대해 적극적인 행동을 요구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정은은 지난달 29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남조선 당국은 우리 공화국(북한)에 대한 대결적인 자세와 상습적인 태도부터 변해야 하며 말로써가 아니라 실천으로 민족자주의 입장을 견지하고 근본적인 문제부터 해결하려는 자세에서 북남 관계를 대하며 북남 선언들을 무게있게 대하고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정부는 북한의 이같은 비방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취재진에 “개인 명의로 선전매체에 입장을 표명한 것에 대해 정부가 별도의 입장을 내거나 논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북한이 통신선을 복원하며 ‘선결과제 해결’을 요구한데 대해서는 “북한의 입장을 예단하지 않겠다”며 “앞으로 북한의 태도를 지켜보면서 이런 문제들도 풀어나자는 게 정부가 가진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밝혔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