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3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밑돌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한금융투자 분석
신한금융투자는 6일 셀트리온의 목표주가를 26만원으로 낮췄다.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높은 재고수준 등으로 올 3분기 실적이 저조할 것이란 판단이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셀트리온의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4052억원, 영업이익은 1496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6.2%와 39% 감소할 것으로 봤다. 영업이익률은 36.9%를 기록할 것이란 예상이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컨센서스)를 각각 29%와 39% 밑돈 수치다.
이동건 연구원은 “올 3분기 공시된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공급계약은 총 3건(램시마IV, 트룩시마)이며 합산 계약금액은 2322억원”이라며 “2분기 공급계약 공시 규모 2611억원 대비 11%, 지난해 3분기 공급계약 공시 규모 3705억원 대비는 37% 감소한 수치”라고 말했다.
이는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높은 재고수준 때문인 것으로 봤다. 올 2분기 말 기준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재고자산은 2조1431억원이다. 특히 지난해 상반기 유럽에 출시한 ‘램시마SC’의 재고수준이 부담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2분기 말 기준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램시마SC 재고는 약 6000억~7000억원 수준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연간 램시마SC 매출 368억원과 올해 예상 연간 램시마SC 매출 904억원 감안 시, 당분간 셀트리온의 셀트리온헬스케어 관련 램시마SC 매출은 없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유럽 및 미국 진출을 앞두고 렉키로나를 대량 생산하는 것도 원인으로 봤다. 그는 “2분기 ‘렉키로나’의 선제적 생산에 따른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공급이 제한됐던 점을 감안할 때 3분기에도 영향은 지속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다만 이달 렉키로나의 유럽의약품청(EMA) 정식 품목허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이고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EUA) 신청도 예상된다”며 “선제적 생산에 따른 매출 감소는 이르면 올 4분기, 늦어도 2022년 상반기 중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출시 영향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새로운 제제 탄생 기대감으로 글로벌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사들의 실적 기대감이 전반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봤다.
이 연구원은 “렉키로나의 유럽과 미국 진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한 만큼 성과에 따라 주가 반등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4분기부터는 실적 개선(턴어라운드)이 예상된다”고 했다. 이도희 기자
셀트리온의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4052억원, 영업이익은 1496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6.2%와 39% 감소할 것으로 봤다. 영업이익률은 36.9%를 기록할 것이란 예상이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컨센서스)를 각각 29%와 39% 밑돈 수치다.
이동건 연구원은 “올 3분기 공시된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공급계약은 총 3건(램시마IV, 트룩시마)이며 합산 계약금액은 2322억원”이라며 “2분기 공급계약 공시 규모 2611억원 대비 11%, 지난해 3분기 공급계약 공시 규모 3705억원 대비는 37% 감소한 수치”라고 말했다.
이는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높은 재고수준 때문인 것으로 봤다. 올 2분기 말 기준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재고자산은 2조1431억원이다. 특히 지난해 상반기 유럽에 출시한 ‘램시마SC’의 재고수준이 부담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2분기 말 기준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램시마SC 재고는 약 6000억~7000억원 수준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연간 램시마SC 매출 368억원과 올해 예상 연간 램시마SC 매출 904억원 감안 시, 당분간 셀트리온의 셀트리온헬스케어 관련 램시마SC 매출은 없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유럽 및 미국 진출을 앞두고 렉키로나를 대량 생산하는 것도 원인으로 봤다. 그는 “2분기 ‘렉키로나’의 선제적 생산에 따른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공급이 제한됐던 점을 감안할 때 3분기에도 영향은 지속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다만 이달 렉키로나의 유럽의약품청(EMA) 정식 품목허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이고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EUA) 신청도 예상된다”며 “선제적 생산에 따른 매출 감소는 이르면 올 4분기, 늦어도 2022년 상반기 중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출시 영향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새로운 제제 탄생 기대감으로 글로벌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사들의 실적 기대감이 전반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봤다.
이 연구원은 “렉키로나의 유럽과 미국 진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한 만큼 성과에 따라 주가 반등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4분기부터는 실적 개선(턴어라운드)이 예상된다”고 했다. 이도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