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범 "실수요 대출도 상환능력 범위내 진행돼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세·집단대출은 실수요자 보호해야"
"현재 대출 증가세는 실수요에서 발생하고 있어"
"현재 대출 증가세는 실수요에서 발생하고 있어"

이날 국회에서 금융위원회를 대상으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선 금융권 최대 현안인 가계부채에 대한 질의가 쏟아졌다.
이에 고 위원장은 "가계부채 관련해서 향후 문제가 커질 것이기 때문에 빨리 대응을 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실수요 보호와 가계부채도 관리해야 해서 상당히 어려운 과제로, 관련 보완대책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세대출과 집단대출 경우 실수요자를 보호해야 하는 측면이 있어서 그 부분을 세심하게 들여다보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실수요자도 상환 능력 범위 내 대출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계대출 증가율 6%대를 맞추기 위해서는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며 "실수요자도 상환능력범위 내에서 대출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계대출 증가율 6%대를 맞추기 위해서는 전세 대출과 집단대출을 모두 막아야 달성 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당국은 앞으로도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고 위원장은 "지난해와 올해 들어 코로나19 관련해 완화적인 정책을 추진하다 보니 가계대출이 많이 늘었다"며 "실물경제 악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긴 했지만, 지금은 더 대출이 늘어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결국 가계부채 관리는 강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앞으로도 이러한 관리 강화 추세는 계속 가져가려 한다"며 "갑작스러운 규제라기보다 하반기부터 강화하려는 그런 계획을 이미 가지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정책모기지 중도상환 수수료를 기존 1.2%에서 0.6%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도 추진한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정책 모기지의 중도상환 수수료를 폐지해야 한다"고 지적한 데 대한 답변이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