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연속 2%대 '高물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청, 9월 소비자물가 2.5%↑
전월세·우유·라면 등 줄줄이 급등
기재부 "4분기도 상승세 지속"
전월세·우유·라면 등 줄줄이 급등
기재부 "4분기도 상승세 지속"
소비자물가가 6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계란, 우유, 라면, 휘발유, 전·월세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영향이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83(2015년=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다. 농축수산물(3.7%), 공업제품(3.4%), 서비스(1.9%) 등이 일제히 올랐다. 전기, 수도, 가스는 보합세를 보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2.3%를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다. 2009년 8월부터 2012년 6월까지 2년10개월 연속 2%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9년3개월 만에 최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3분기 기준으로는 2.6% 상승했다. 2012년 1분기 3.0% 상승 이후 분기 기준으로 가장 많이 올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월세 불안이 두드러졌다. 전세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2017년 11월 이후 3년1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월세는 0.9% 올라 2014년 7월 이후 7년2개월 만에 가장 많이 상승했다. 우유 원료인 원유 가격과 라면값 등이 오르면서 가공식품 가격은 2.5% 상승했다. 국제 유가 상승 영향으로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각각 21.0%, 23.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값은 작년 동월 대비 43.4% 올라 여전히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통계청과 기획재정부는 물가 상승 추세가 4분기에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일부 둔화됐지만 코로나19 4차 유행 이후 소비심리 반등으로 외식 등 개인서비스 가격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있다”며 “국제 유가와 환율 상승, 전기료 인상, 우유 원료인 원유 가격 인상으로 인한 가공식품 불안 등 물가 상승 요인이 많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상승률을 웃돌 것으로 봤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 10월 통신비 지원 기저효과로 물가 상승폭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도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통계청이 6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83(2015년=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다. 농축수산물(3.7%), 공업제품(3.4%), 서비스(1.9%) 등이 일제히 올랐다. 전기, 수도, 가스는 보합세를 보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2.3%를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다. 2009년 8월부터 2012년 6월까지 2년10개월 연속 2%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9년3개월 만에 최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3분기 기준으로는 2.6% 상승했다. 2012년 1분기 3.0% 상승 이후 분기 기준으로 가장 많이 올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월세 불안이 두드러졌다. 전세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2017년 11월 이후 3년1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월세는 0.9% 올라 2014년 7월 이후 7년2개월 만에 가장 많이 상승했다. 우유 원료인 원유 가격과 라면값 등이 오르면서 가공식품 가격은 2.5% 상승했다. 국제 유가 상승 영향으로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각각 21.0%, 23.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값은 작년 동월 대비 43.4% 올라 여전히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통계청과 기획재정부는 물가 상승 추세가 4분기에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일부 둔화됐지만 코로나19 4차 유행 이후 소비심리 반등으로 외식 등 개인서비스 가격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있다”며 “국제 유가와 환율 상승, 전기료 인상, 우유 원료인 원유 가격 인상으로 인한 가공식품 불안 등 물가 상승 요인이 많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상승률을 웃돌 것으로 봤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 10월 통신비 지원 기저효과로 물가 상승폭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도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