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 꿈의 제철기술 개방…그린 철강 주도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스코 수소환원제철 포럼
국제기구 등서 1200여명 참석
"탄소중립 먼저 행동하고 협력"
국제기구 등서 1200여명 참석
"탄소중립 먼저 행동하고 협력"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기술의 개방형 개발 플랫폼을 제시해 글로벌 그린철강 시대를 주도하겠습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6일 열린 수소환원제철(하이스·HyIS) 국제포럼에서 “전문가들의 경쟁과 협력이 어우러져 지식과 경험을 공유한다면 철강의 탄소중립 시대가 예상보다 빠르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포스코 주최로 6일부터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이틀간 열리는 이번 포럼에는 세계 주요 철강사, 원료공급사, 엔지니어링사, 수소공급사 등 업계와 에너지 분야 국제기구, 각국 철강협회 등 29곳에서 1200여 명이 참석한다. 전문가들은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과 함께 저탄소 정책, 협업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철광석에서 산소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산화탄소(CO2) 발생이 전혀 없어 ‘꿈의 제철 기술’로 불린다. 하지만 기술 개발은 원료인 수소의 생산부터 제철 기술까지 모두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포럼 개막식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온라인 축사를 통해 수소환원제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현재 실험실 수준의 기초단계에 있는 이 기술을 개발·상용화하는 것은 범세계적인 역량 결집이 있어야 가능한 과제”라며 “한국이 먼저 행동하고 세계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번 포럼에서 자체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를 선보였다. 이 공법은 포스코가 보유한 파이넥스 유동로 기술을 기반으로 가루 형태의 분광과 수소를 사용해 철강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포스코는 이 기술을 개방형 플랫폼 형태로 내놓고, 후속 기술을 세계 철강사들이 분담해 성과를 공유하는 ‘개방형 혁신’에 나선다는 계획도 내놨다.
기조강연자로 나선 전문가들은 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과제로 제시했다. 앨런 핀켈 호주 정부 저탄소 특별 고문은 “제철 기술에 앞서 청정 수소 생산·저장·조달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며 “이는 국가가 앞장서야 할 역할”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6일 열린 수소환원제철(하이스·HyIS) 국제포럼에서 “전문가들의 경쟁과 협력이 어우러져 지식과 경험을 공유한다면 철강의 탄소중립 시대가 예상보다 빠르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포스코 주최로 6일부터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이틀간 열리는 이번 포럼에는 세계 주요 철강사, 원료공급사, 엔지니어링사, 수소공급사 등 업계와 에너지 분야 국제기구, 각국 철강협회 등 29곳에서 1200여 명이 참석한다. 전문가들은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과 함께 저탄소 정책, 협업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철광석에서 산소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산화탄소(CO2) 발생이 전혀 없어 ‘꿈의 제철 기술’로 불린다. 하지만 기술 개발은 원료인 수소의 생산부터 제철 기술까지 모두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포럼 개막식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온라인 축사를 통해 수소환원제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현재 실험실 수준의 기초단계에 있는 이 기술을 개발·상용화하는 것은 범세계적인 역량 결집이 있어야 가능한 과제”라며 “한국이 먼저 행동하고 세계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번 포럼에서 자체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를 선보였다. 이 공법은 포스코가 보유한 파이넥스 유동로 기술을 기반으로 가루 형태의 분광과 수소를 사용해 철강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포스코는 이 기술을 개방형 플랫폼 형태로 내놓고, 후속 기술을 세계 철강사들이 분담해 성과를 공유하는 ‘개방형 혁신’에 나선다는 계획도 내놨다.
기조강연자로 나선 전문가들은 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과제로 제시했다. 앨런 핀켈 호주 정부 저탄소 특별 고문은 “제철 기술에 앞서 청정 수소 생산·저장·조달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며 “이는 국가가 앞장서야 할 역할”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