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 손잡고 수소경제 '올인'…7000억弗 시장 선점 나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청정수소 선도국가로"
수소 사용량, 10년간 18배↑
충전소 70기→660기로 늘려
수소열차·선박 등 개발하기로
수소 사용량, 10년간 18배↑
충전소 70기→660기로 늘려
수소열차·선박 등 개발하기로
![< 수소 트램 시승 >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인천 청라 현대모비스 수소연료전지 공장 예정 부지에서 열린 ‘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 발표’ 행사에서 수소 트램에 시승해 현대로템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정부는 올해 22만t 수준인 연간 수소 사용량을 2030년 390만t으로 확대하고 30개 글로벌 수소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오른쪽부터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허문찬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AA.27699780.1.jpg)
2050년 청정수소 비중 100%
![정부·기업 손잡고 수소경제 '올인'…7000억弗 시장 선점 나선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AA.27698675.1.jpg)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확충을 통한 수소 유통망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 70기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를 2030년 660기, 2050년 2000기 이상 확충하는 것을 선결과제로 삼은 이유다. 충전소 보급은 수소차 수요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세계 최고 수준인 조선사의 기술력을 활용해 암모니아 추진선·액화수소 운반선 등을 조기에 상용화하고, 수소항만을 조성해 해외수소 도입 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이 같은 인프라 구축의 일환이다.
수소산업 지원도 강화한다. 정부는 △범부처 차원의 수소 기술개발 지원 △신성장·원천기술 세액공제 확대 △해외개발 융자·보증지원 정책금융 확대 등의 지원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인재 양성을 위해 수소전문 대학원·대학교 과정을 신설하는 등 2030년까지 일자리 5만 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수소경제 대비 나선 산업계
국내 주요 기업도 청정수소 프로젝트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롯데케미칼·포스코 등 대기업 3사가 함께 진행 중인 ‘말레이시아 사라왁 수소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이들 3사는 말레이시아 등과 협업해 블루·그린 수소 및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이를 산업현장에 활용할 방침이다. GS에너지 등 7개 기업은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블루 암모니아를 연 114만t 들여오는 동해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허용수 GS에너지는 사장은 이날 “아부다비석유공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오일산업에서 수소산업으로 협력 분야를 확장 및 강화하겠다”고 말했다.SK는 총 18조5000억원을 수소생태계 구축에 쏟아붓고 있다. SK E&S는 충남 보령에 연 25만t의 블루수소를 생산·액화·유통할 수 있는 핵심기술에 투자한다. 한국전력은 이날 2050년에 운영되는 7기의 석탄발전소를 모두 암모니아로 대체하는 연료전환 추진계획을 내놓았다. 업계 관계자는 “적극적 수소 도입 정책이 있을 경우 2050년 글로벌 에너지 수요의 24%는 수소 몫이 될 것”이라며 “2050년 7000억달러에 달할 수소시장을 기업들도 포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협업 체계 구축해야”
정부는 수소경제의 3대 축인 운송·산업·발전 부문에서 모두 수소 사용을 확대해 탄소중립 정책의 핵심 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현재의 연료전지 기술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수소차 부문의 초격차를 유지하고, 열차·선박·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로 수소경제를 확대할 방침이다.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