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호 칼럼] 탄소재난지원금이라도 줄 텐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탄소감축 과속, 고용 쇼크 불가피
시간·기술 없는데 감축 강제하면
생산 및 고용 감소·脫한국 불가피
이건호 편집국 부국장
시간·기술 없는데 감축 강제하면
생산 및 고용 감소·脫한국 불가피
이건호 편집국 부국장
![[이건호 칼럼] 탄소재난지원금이라도 줄 텐가](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07.26110264.1.jpg)
대통령 소속 2050탄소중립위원회가 지난 8일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대폭 상향조정하자 산업계에서는 당혹감을 넘어 분노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기업들이야 해외로 나가면 되지만 근로자들은 어떻게 하나? 탄소재난지원금이라도 줄 작정인가?”
여권 주도로 국회가 지난 8월 2030 NDC를 2018년 대비 35% 이상 감축하도록 명시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안’을 통과시켜 업계를 ‘멘붕’에 빠뜨리더니 이번엔 한술 더 떴다. ‘탄소중립 대못박기’ 수준이다. “다음, 다다음 정권에까지 폭탄을 던진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정부는 경제에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기업들은 “몰라도 한참 모르는 소리”라고 분통을 터뜨린다. 제조업 비중이 큰 한국은 탄소감축 제약 요인이 많다. 한국 제조업 비중은 28.4%(2019년 기준)로 미국(11.0%) 유럽연합(EU·16.4%)보다 높다. 철강·석유화학·정유 등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업종 비중 역시 8.4%로 미국(3.7%) EU(5.0%)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산업 분야의 탄소감축 기술은 대부분 2030년까지 상용화가 힘들다. 포스코는 철광석에서 산소를 분리시키는 환원제를 석탄에서 수소로 대체하는 수소환원제철기술 개발 시기를 2040년으로 보고 있다. 기존 고로 1기를 전환하는 데 약 5조9000억원이 소요된다. 9기 전체를 바꾸려면 53조원가량이 든다.
주요국에 비해 탄소감축 달성 기간도 짧다. 한국은 2018년을 기준으로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어서 추진기간이 32년이다. 영국·프랑스 60년, 독일 55년 등 EU 국가는 50년 이상이다. 미국은 43년, 일본은 37년이다.
탄소중립 경제로의 전환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의 말처럼 “기업 혼자 힘으로 할 수 없는 영역”이다. 무턱대고 목표만 세운 채 달려가다간 국내 제조업에 치명상을 입힐 수도 있다.
포브스는 올겨울 원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를 넘을 수 있으며, 글로벌 경제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무엇보다 걱정되는 대목은 우리나라가 대선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여야의 대권 경쟁은 ‘너 죽고 나 살자’ 식의 오징어게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외환위기도 대선 정국이었던 1997년 가을 찾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