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규제 리스크…'친환경·배당株' 피난처로 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 규제 우려
증권가 "해외 유동성 정책도 변화
중소형·탄소배출권 테마 담을 때"
증권가 "해외 유동성 정책도 변화
중소형·탄소배출권 테마 담을 때"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의 금융 진출이 가속화됨에 따라 영업행위 규제 등 합리적인 감독방안을 마련하겠습니다.”
지난 7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한 말이다. 카카오, 네이버 등 빅테크 규제 강화를 둘러싼 우려를 기정사실화한 셈이다. 최근 국내외에서 플랫폼 규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 여파로 미국, 중국, 한국 증시가 흔들리자 증권가에서는 친환경주와 배당주로 피신하라는 조언이 나온다.
최근 각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규제 리스크를 다룬 리포트를 잇달아 내놓았다. 규제 리스크 때문에 빅테크의 성장성에 의문이 제기된 것은 물론 작년 주가 급등에 따른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 부담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게 카카오다. 카카오 주가는 작년 초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400% 넘게 치솟았다. 빅테크 규제 우려로 최근 조정을 받았는데도 주가수익비율(PER)이 50.74배(8일 기준)다.
유동성 환경 변화까지 더해졌다. 각국이 기준금리를 줄줄이 인상하며 유동성을 회수 중이다. 금리 인상은 쌓아놓은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성장주에 특히 불리하다. 이 같은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경우에 대비해 새로운 피난처를 찾아야 한다는 게 증권사들의 조언이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올 상반기부터 경기 회복과 물가 상승 등으로 유동성 정책을 바꿔야 하는 이유가 쌓였고 3분기에는 정책 변화가 진행 중”이라며 “유동성 환경 변화가 펀더멘털(실적 기반) 가정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형주, 친환경 테마, 배당주 등이 ‘피난처’로 제시된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규제 이슈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중소형주와 친환경 테마 및 안정적인 배당 테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긴 호흡에서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은 일부 경기 민감 산업에 관심을 가질 법하다”고 했다.
해외 증시도 마찬가지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증시 포트폴리오 전략은 당분간 ‘선별과 압축’”이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도하는 친환경·국산화 국책산업 중심으로 대응하는 게 안전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자국 전기차 생산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을 쏟아내고 있다. 민주당은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업계 빅3 기업이 판매하는 전기차에 세금 공제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업계에서는 최근 수소, 탄소배출권 관련 상품으로 투자 자금이 몰리는 것도 이 같은 규제 리스크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정책과 싸우는 대신 정책 수혜주에 투자하겠다는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해석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지난 7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한 말이다. 카카오, 네이버 등 빅테크 규제 강화를 둘러싼 우려를 기정사실화한 셈이다. 최근 국내외에서 플랫폼 규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 여파로 미국, 중국, 한국 증시가 흔들리자 증권가에서는 친환경주와 배당주로 피신하라는 조언이 나온다.
최근 각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규제 리스크를 다룬 리포트를 잇달아 내놓았다. 규제 리스크 때문에 빅테크의 성장성에 의문이 제기된 것은 물론 작년 주가 급등에 따른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 부담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게 카카오다. 카카오 주가는 작년 초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400% 넘게 치솟았다. 빅테크 규제 우려로 최근 조정을 받았는데도 주가수익비율(PER)이 50.74배(8일 기준)다.
유동성 환경 변화까지 더해졌다. 각국이 기준금리를 줄줄이 인상하며 유동성을 회수 중이다. 금리 인상은 쌓아놓은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성장주에 특히 불리하다. 이 같은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경우에 대비해 새로운 피난처를 찾아야 한다는 게 증권사들의 조언이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올 상반기부터 경기 회복과 물가 상승 등으로 유동성 정책을 바꿔야 하는 이유가 쌓였고 3분기에는 정책 변화가 진행 중”이라며 “유동성 환경 변화가 펀더멘털(실적 기반) 가정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형주, 친환경 테마, 배당주 등이 ‘피난처’로 제시된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규제 이슈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중소형주와 친환경 테마 및 안정적인 배당 테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긴 호흡에서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은 일부 경기 민감 산업에 관심을 가질 법하다”고 했다.
해외 증시도 마찬가지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증시 포트폴리오 전략은 당분간 ‘선별과 압축’”이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도하는 친환경·국산화 국책산업 중심으로 대응하는 게 안전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자국 전기차 생산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을 쏟아내고 있다. 민주당은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업계 빅3 기업이 판매하는 전기차에 세금 공제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업계에서는 최근 수소, 탄소배출권 관련 상품으로 투자 자금이 몰리는 것도 이 같은 규제 리스크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정책과 싸우는 대신 정책 수혜주에 투자하겠다는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해석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