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문화예술 탄압'…민주화 기억까지 지울 수 있을까 [김동욱의 하이컬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 흔적이 중국 본토에 이어 홍콩에서마저 사라질 위기입니다. 톈안먼 민주화 시위를 추모하는 중국 내 유일한 조각 작품의 강제 철거가 임박한 것인데요.
특히 덴마크 조각 작가의 작품을 중국 정부가 일방적으로 없애버리려고 하면서 중국의 정치·문화·예술 탄압이 국제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1997년부터 홍콩대 캠퍼스 내에 자리했던 '수치의 기둥(Pillar of Shame)'을 13일까지 철거하라고 홍콩대 측에 통보했습니다.
작품의 철거 소식이 아직 전해지지 않은 까닭에, 일단 애초 고지 시한인 어제까지 철거작업이 진행되진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리 오래 버틸 것 같지는 않은 분위기입니다. 대학 캠퍼스 내에 자리 잡고 있던 높이 8m, 무게 2t짜리 조각품을 중국 대륙에서는 더는 볼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것입니다.
'수치의 기둥'은 홍콩대 캠퍼스에서 가장 유명한 예술 작품으로 1989년 톈안먼 학살의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덴마크 작가 옌스 갤치옷이 만든 것입니다. 매년 6월 4일 톈안먼 민주화 시위 추모 촛불 행사를 진행해온 홍콩시민지원애국민주운동연합회(支聯會·지련회)가 이 작품을 기증받아 연례행사로 조각 작품 세정식을 진행해 왔습니다. 중국 정부의 막무가내식 조치에 작가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갤치옷 작가는 지난 8일 공개서한을 통해 학교 측이 자신의 작품을 임의로 옮기거나 처분할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갤치옷 작가는 "조각상의 이전과 관련해 아무런 공식 요청을 받지 못했다"며 "작품을 만든 내가 왜 언론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알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울분을 토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약 조각상이 손상을 입는다면 대학 측은 그에 상응하는 배상 책임을 져야 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조각품은 홍콩 이외의 다른 지역으로 옮겨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신들은 미국 워싱턴이나 대만 등을 조각상이 옮겨질 후보지로 거론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목적에 따른 사상의 억압, 문화·예술에 대한 탄압을 '과거형'이 아닌 '현재형'으로 접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특히 덴마크 조각 작가의 작품을 중국 정부가 일방적으로 없애버리려고 하면서 중국의 정치·문화·예술 탄압이 국제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1997년부터 홍콩대 캠퍼스 내에 자리했던 '수치의 기둥(Pillar of Shame)'을 13일까지 철거하라고 홍콩대 측에 통보했습니다.
작품의 철거 소식이 아직 전해지지 않은 까닭에, 일단 애초 고지 시한인 어제까지 철거작업이 진행되진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리 오래 버틸 것 같지는 않은 분위기입니다. 대학 캠퍼스 내에 자리 잡고 있던 높이 8m, 무게 2t짜리 조각품을 중국 대륙에서는 더는 볼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것입니다.
'수치의 기둥'은 홍콩대 캠퍼스에서 가장 유명한 예술 작품으로 1989년 톈안먼 학살의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덴마크 작가 옌스 갤치옷이 만든 것입니다. 매년 6월 4일 톈안먼 민주화 시위 추모 촛불 행사를 진행해온 홍콩시민지원애국민주운동연합회(支聯會·지련회)가 이 작품을 기증받아 연례행사로 조각 작품 세정식을 진행해 왔습니다. 중국 정부의 막무가내식 조치에 작가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갤치옷 작가는 지난 8일 공개서한을 통해 학교 측이 자신의 작품을 임의로 옮기거나 처분할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갤치옷 작가는 "조각상의 이전과 관련해 아무런 공식 요청을 받지 못했다"며 "작품을 만든 내가 왜 언론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알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울분을 토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약 조각상이 손상을 입는다면 대학 측은 그에 상응하는 배상 책임을 져야 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조각품은 홍콩 이외의 다른 지역으로 옮겨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신들은 미국 워싱턴이나 대만 등을 조각상이 옮겨질 후보지로 거론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목적에 따른 사상의 억압, 문화·예술에 대한 탄압을 '과거형'이 아닌 '현재형'으로 접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