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측근 주도한 시민단체, 서울시 사업 600억 독점 수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02.25340381.1.jpg)
서울시는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평가·조사 결과 사업 실행 및 확대 과정에서 사단법인 마을과 관련해 불공정과 특혜, 비효율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고 14일 발표했다. 오 시장이 지난 달 ‘서울시 바로세우기’라는 이름으로 시민사회 분야 민간보조와 민간위탁 사업에 대한 대대적 구조 점검과 수술을 예고한 이후 평가 결과를 발표한 첫 사례다.
시에 따르면 시민단체 마을은 지난 2012년 4월 설립됐다. 자본금은 5000만원이었다. 하지만 해당 시민단체는 설립된 지 불과 4개월만인 2012년 8월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위탁 운영을 맡았다. 이후 올해까지 9년 넘게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를 위탁 운영하며 약 400억을 지원받았다.
사단법인 마을은 마을공동체 사업 뿐 아니라 청년부문까지 수탁 범위를 확장했다. 2016년7월부터 2021년6월까지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를 위탁·운영하며 약 140여억 원의 예산을 지원 받았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민단체 마을 설립자는 박 전 시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유창복 전 서울시 협치자문관이다. 그는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센터장을 겸임했을 뿐 아니라 일부 관련자들을 서울시 마을공동체를 관리·감독하는 임기제 공무원으로 채용하도록 도왔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시는 "사단법인 마을이 관련자들을 공무원으로 투입하는 등 그들만의 마을 생태계를 만들면서, 서울시로부터 수탁 사업의 범위와 규모를 늘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진단했다.
시민단체 마을은 서울시 중간조직인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위탁 운영에 그치지 않고, 서울시 자치구의 중간조직인 마을자치센터를 확대·설립하면서 총 9개에 달하는 조직을 관련 단체 출신이 위탁받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사단법인 마을을 시작으로 불공정 위탁 운영에 대해 단계적으로 수술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종합성과평가를 받은 수탁기관이 같은 해 특정감사를 유예받도록 해 준 '서울특별시 민간위탁 관리지침'을 개정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혈세가 투입된 잘못된 행정·정책들을 재구조화하고, 정책의 방향을 바로 잡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