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접종 후 하혈 증상"…자궁근종·내막암 신호일수도 [이선아 기자의 생생헬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궁 질환 증상
자궁 속에 근종 생겨도
평소 별다른 증상 못느껴
방치하면 유산·난임·암 위험
근종 커지면 월경량 많아지거나
골반·허리 통증·배뇨 질환 동반
자궁 속에 근종 생겨도
평소 별다른 증상 못느껴
방치하면 유산·난임·암 위험
근종 커지면 월경량 많아지거나
골반·허리 통증·배뇨 질환 동반
월경은 여성호르몬이 분비되면서 자궁 안쪽 근육층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정기적으로 월경을 한다면 난소와 자궁, 뇌하수체가 모두 정상이란 의미다. 반대로 월경 기간이 아닌데 출혈 증상이 있다면 자궁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부정출혈(부정기적인 질 출혈) 증상이 있었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되면서 “백신 부작용이 아니냐”는 우려가 퍼지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백신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은 만큼 다른 원인이 있었을 가능성을 내놓고 있다. 대표적인 게 자궁근종과 자궁내막암이다. 부정출혈을 방치했다간 자칫 유산과 난임으로 이어지고, 암으로 발전할 수도 있는 만큼 조기 진료가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상당수는 자궁근종이 생겨도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근종의 위치·크기·개수에 따라 월경량이 많아지거나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근종이 괴사하거나 염증을 일으켜 골반 및 허리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근종이 커지면 방광, 요관을 눌러 빈뇨 등 배변 질환이 생기기도 한다. 방치하면 유산과 난임의 원인이 된다.
무서운 질환이 될 수도 있는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20~40%가 앓을 만큼 흔한 질병이다. 한 번 생기면 잘 없어지지 않는 데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많이 분비되면 크기도 조금씩 커진다. 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런 이유로 초경이 빠를수록 자궁근종 발병률이 높고,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폐경기에 접어들면 발병률도 떨어진다.
50대 이상도 안심할 수 없다. 지난해 자궁근종으로 진료받은 만 55세 이상 환자는 2011년에 비해 2.5배 증가했고, △60~64세는 3.4배 △65~69세는 4.4배 △70~74세는 4.1배 늘었다. 이성하 미즈메디병원 산부인과 진료과장은 “중년이 되면서 호르몬 보조제를 복용하면 폐경기 이후에도 자궁근종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자궁경부암에 걸리면 성관계 후 경미한 질 출혈이 나타난다. 처음에는 갈색 냉처럼 피가 조금 묻어 나오는 정도지만, 암이 진행되면서 출혈량과 분비물도 증가한다. 2차 감염되면 악취가 동반된다. 암세포가 직장, 방광, 요관, 골반 등 주변 장기까지 번지면 직장 출혈, 혈뇨, 허리 통증, 배뇨 이상 등이 함께 나타난다. 다리가 붓거나 체중이 급격히 빠지는 환자도 있다. 자궁경부암이 어느 정도 진행된 단계라면 복강경 수술 등을 활용해 자궁을 절제해야 할 수도 있다.
자궁경부암의 초기 생존율은 높은 편이다. 암세포가 다른 곳으로 번지지 않는 ‘국한’ 단계에선 생존율이 94.1%(국가암정보센터 자료)에 달한다. 전체 암 생존율(88.1%)을 웃도는 수치다. 그러다 인접 조직이나 근처 장기로 퍼지는 ‘국소 진행’ 단계에선 73.7%로 낮아진다. 멀리 떨어져 있는 장기까지 암세포가 퍼진 ‘원격 전이’에선 생존율이 27%로 뚝 떨어진다.
자궁내막암 역시 에스트로겐 분비에 영향을 받는다. 자궁근종처럼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어지는 경우 암 고위험군에 속한다. 반면 임신이나 출산할 때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은 에스트로겐과 반대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임신·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의 자궁내막암 발병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비만도 자궁내막암의 원인 중 하나다. 비만과 함께 나타나는 당뇨병,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암 발병률을 높인다. ‘타목시펜’ 등 유방암 환자들이 장기 복용하는 호르몬제도 자궁내막암을 부를 수 있다.
자궁내막암의 약 80%는 1~2기에 진단된다. 1기에 진단되면 생존율이 약 95%다. 3~4기에 자궁내막암을 발견하면 재발률도 높고 예후도 나쁘다. 내막암 조직 유형에 따라 생존율이 크게 차이 나기도 한다. 같은 1기라도 자궁내막양세포 유형은 예후가 좋은 편이다. 반면 장액성이나 투명세포 유형은 1기라도 재발률이 30~40%에 달한다.
자궁경부암은 예방이 중요하다. HPV 백신을 맞을 경우 고위험 바이러스인 16형·18형을 99% 이상 예방할 수 있다. 현재 만 12세 여아는 국가예방접종 사업의 일환으로 HPV 백신을 무료로 맞을 수 있다. 정부는 무료 접종 대상을 만 17세 이하 여아로 확대할 계획이다.
자궁내막암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은 없다. 조기검진이 중요한 이유다. 홍진화 고려대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상당수 환자는 질 출혈이 있을 때 곧바로 검진을 받은 덕분에 암으로 진행되기 전인 ‘자궁내막증식증’으로 판정받는다”며 “이 경우 수술 말고 약물치료만으로도 높은 완치율을 보인다”고 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부정출혈(부정기적인 질 출혈) 증상이 있었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되면서 “백신 부작용이 아니냐”는 우려가 퍼지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백신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은 만큼 다른 원인이 있었을 가능성을 내놓고 있다. 대표적인 게 자궁근종과 자궁내막암이다. 부정출혈을 방치했다간 자칫 유산과 난임으로 이어지고, 암으로 발전할 수도 있는 만큼 조기 진료가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자궁근종 커지면 요통·빈뇨도
자궁은 세 개의 근육층으로 이뤄져 있다. 가장 안쪽이 내막이다. 그 밖에 중간 및 바깥쪽 근육층이 장막에 둘러싸여 있다. 자궁근종은 이들 근육층에 있는 근육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돼 단단한 혹으로 변하는 질병이다.상당수는 자궁근종이 생겨도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근종의 위치·크기·개수에 따라 월경량이 많아지거나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근종이 괴사하거나 염증을 일으켜 골반 및 허리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근종이 커지면 방광, 요관을 눌러 빈뇨 등 배변 질환이 생기기도 한다. 방치하면 유산과 난임의 원인이 된다.
무서운 질환이 될 수도 있는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20~40%가 앓을 만큼 흔한 질병이다. 한 번 생기면 잘 없어지지 않는 데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많이 분비되면 크기도 조금씩 커진다. 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런 이유로 초경이 빠를수록 자궁근종 발병률이 높고,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폐경기에 접어들면 발병률도 떨어진다.
50대 이상도 안심할 수 없다. 지난해 자궁근종으로 진료받은 만 55세 이상 환자는 2011년에 비해 2.5배 증가했고, △60~64세는 3.4배 △65~69세는 4.4배 △70~74세는 4.1배 늘었다. 이성하 미즈메디병원 산부인과 진료과장은 “중년이 되면서 호르몬 보조제를 복용하면 폐경기 이후에도 자궁근종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자궁경부암은 출혈에 악취까지
출혈뿐 아니라 분비물에서 악취가 나고,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 자궁경부암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경부’에 생기는 암이다. 자궁경부암은 대부분 성관계를 통해 전염되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로 인해 발병한다. HPV에 감염됐다고 해서 모두 자궁경부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감염 환자의 70~80%는 1년 안에 자연 소멸된다. 하지만 이 중 고위험군인 16형·18형에 감염되면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이 10배 이상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자궁경부암에 걸리면 성관계 후 경미한 질 출혈이 나타난다. 처음에는 갈색 냉처럼 피가 조금 묻어 나오는 정도지만, 암이 진행되면서 출혈량과 분비물도 증가한다. 2차 감염되면 악취가 동반된다. 암세포가 직장, 방광, 요관, 골반 등 주변 장기까지 번지면 직장 출혈, 혈뇨, 허리 통증, 배뇨 이상 등이 함께 나타난다. 다리가 붓거나 체중이 급격히 빠지는 환자도 있다. 자궁경부암이 어느 정도 진행된 단계라면 복강경 수술 등을 활용해 자궁을 절제해야 할 수도 있다.
자궁경부암의 초기 생존율은 높은 편이다. 암세포가 다른 곳으로 번지지 않는 ‘국한’ 단계에선 생존율이 94.1%(국가암정보센터 자료)에 달한다. 전체 암 생존율(88.1%)을 웃도는 수치다. 그러다 인접 조직이나 근처 장기로 퍼지는 ‘국소 진행’ 단계에선 73.7%로 낮아진다. 멀리 떨어져 있는 장기까지 암세포가 퍼진 ‘원격 전이’에선 생존율이 27%로 뚝 떨어진다.
출산했다면 자궁내막암 위험↓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자궁내막암 환자도 늘어나고 있다. 자궁내막암은 월경 때 혈액과 함께 배출되는 내막 근육층에 생기는 암이다. 산부인과에서 다루는 암 중에선 자궁경부암에 이어 2위를 차지할 정도로 환자 수가 많다. 부정출혈은 자궁내막암의 대표적 증상이다. 출혈량이 많아지면서 빈혈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복통 혈뇨 빈뇨 요통 등도 같이 나타난다.자궁내막암 역시 에스트로겐 분비에 영향을 받는다. 자궁근종처럼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어지는 경우 암 고위험군에 속한다. 반면 임신이나 출산할 때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은 에스트로겐과 반대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임신·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의 자궁내막암 발병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비만도 자궁내막암의 원인 중 하나다. 비만과 함께 나타나는 당뇨병,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암 발병률을 높인다. ‘타목시펜’ 등 유방암 환자들이 장기 복용하는 호르몬제도 자궁내막암을 부를 수 있다.
자궁내막암의 약 80%는 1~2기에 진단된다. 1기에 진단되면 생존율이 약 95%다. 3~4기에 자궁내막암을 발견하면 재발률도 높고 예후도 나쁘다. 내막암 조직 유형에 따라 생존율이 크게 차이 나기도 한다. 같은 1기라도 자궁내막양세포 유형은 예후가 좋은 편이다. 반면 장액성이나 투명세포 유형은 1기라도 재발률이 30~40%에 달한다.
“조기검진·백신이 중요”
자궁근종은 통증, 과도한 출혈 등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치료하지 않아도 된다. 그래도 전문가들은 적어도 1년에 한 번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근종의 크기 변화를 관찰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관희 강동경희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근종이 너무 크고 변형을 일으키면 불임과 유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증상이 없어도 자궁근종이 있으면 6~12개월마다 정기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신정호 고려대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근종이 자궁 내막에 바짝 붙어 있거나 내막을 짓누르고 있는 경우 크기가 작아도 출혈량이 많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수술해야 한다”고 말했다.자궁경부암은 예방이 중요하다. HPV 백신을 맞을 경우 고위험 바이러스인 16형·18형을 99% 이상 예방할 수 있다. 현재 만 12세 여아는 국가예방접종 사업의 일환으로 HPV 백신을 무료로 맞을 수 있다. 정부는 무료 접종 대상을 만 17세 이하 여아로 확대할 계획이다.
자궁내막암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은 없다. 조기검진이 중요한 이유다. 홍진화 고려대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상당수 환자는 질 출혈이 있을 때 곧바로 검진을 받은 덕분에 암으로 진행되기 전인 ‘자궁내막증식증’으로 판정받는다”며 “이 경우 수술 말고 약물치료만으로도 높은 완치율을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