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가 '위드코로나 열쇠'인데…현장선 "환자 방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준비 안 된 재택치료
배송 밀려 키트 받는데 '하세월'
응급 연락처 통화도 잘 안돼
"인력 충원 없어…예고된 혼란"
배송 밀려 키트 받는데 '하세월'
응급 연락처 통화도 잘 안돼
"인력 충원 없어…예고된 혼란"
서울 강남구에 사는 A씨는 지난 10일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11일 강남구보건소에서 ‘재택치료나 생활치료센터 격리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안내를 받아 “재택치료를 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그 이튿날부터 17일까지 엿새가 지났지만 A씨는 기본적인 생활수칙은 물론 증상이 나빠지면 어디로 연락해야 하는지조차 안내받지 못했다. A씨는 “열, 두통, 몸살 증상이 나타나 담당 공무원과 역학조사관에게 30번 넘게 전화했지만 단 한 번도 받지 않았다”며 “재택치료가 아니라 방치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정부가 8일 발표한 ‘코로나19 재택치료 확대 조치’를 두고 현장 곳곳에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소아 등에게 제한적으로 시행하던 재택치료를 70세 미만 무증상·경증 코로나19 확진자로 확대하기로 했다. 코로나19에 걸려도 더 이상 생활치료센터나 병원에 격리될 필요 없이 독감처럼 집에 머물면서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확진자가 급증해도 의료체계에 부담을 덜 줄 수 있다. 확진자 수를 줄이는 대신 위중증 및 사망자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에 재택치료가 ‘핵심’으로 꼽히는 이유다.
하지만 현장에선 정부가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섣부르게 재택치료를 확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택치료 기간엔 체온계·산소포화도측정기 등이 담긴 키트로 하루에 두 번씩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앱을 통해 보고해야 한다. 하지만 재택치료 환자가 증가하면서 키트조차 받지 못한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 동대문구에 사는 B씨는 “키트가 오지 않아 문의했더니 ‘키트 배송이 밀려 있어 재택치료 기간(10일)이 끝날 때까지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응급 핫라인’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정부는 재택치료를 하던 환자가 갑자기 증상이 악화되면 24시간 비상연락망을 통해 비대면 진료·처방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증상에 따라 응급실로 이송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정작 환자들 사이에선 “응급 연락처는커녕 담당 공무원과 역학조사관조차 연락받지 않는다”고 토로한다. 갑자기 병세가 나빠져도 어디로 연락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제대로 안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초기 일부 지역에서 혼선이 있었고, 지금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여전히 이 같은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현장에선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시 한 보건소 관계자는 “기존에는 확진자를 병원에 이송하는 것만으로 업무가 끝났지만, 재택치료는 처음부터 끝까지 행정직원들이 처리해야 한다”며 “인원 충원 없이 재택치료만 확대하는 건 ‘예고된 혼선’일 뿐”이라고 말했다.
의료계에선 위드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하루 신규 확진자가 5000~1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재택치료 환자가 늘어나면 혼란이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기준 전국의 재택치료 환자는 3049명이다. 지난달 말(1500여 명)에 비해 두 배 증가했다.
김탁 순천향대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위드 코로나는 선언적 조치만으로 가능한 게 아니라 보건의료체계 전반의 재조정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의원급, 일반병원급 의료기관에서도 코로나19 환자를 진료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정부가 8일 발표한 ‘코로나19 재택치료 확대 조치’를 두고 현장 곳곳에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소아 등에게 제한적으로 시행하던 재택치료를 70세 미만 무증상·경증 코로나19 확진자로 확대하기로 했다. 코로나19에 걸려도 더 이상 생활치료센터나 병원에 격리될 필요 없이 독감처럼 집에 머물면서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확진자가 급증해도 의료체계에 부담을 덜 줄 수 있다. 확진자 수를 줄이는 대신 위중증 및 사망자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에 재택치료가 ‘핵심’으로 꼽히는 이유다.
하지만 현장에선 정부가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섣부르게 재택치료를 확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택치료 기간엔 체온계·산소포화도측정기 등이 담긴 키트로 하루에 두 번씩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앱을 통해 보고해야 한다. 하지만 재택치료 환자가 증가하면서 키트조차 받지 못한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 동대문구에 사는 B씨는 “키트가 오지 않아 문의했더니 ‘키트 배송이 밀려 있어 재택치료 기간(10일)이 끝날 때까지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응급 핫라인’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정부는 재택치료를 하던 환자가 갑자기 증상이 악화되면 24시간 비상연락망을 통해 비대면 진료·처방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증상에 따라 응급실로 이송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정작 환자들 사이에선 “응급 연락처는커녕 담당 공무원과 역학조사관조차 연락받지 않는다”고 토로한다. 갑자기 병세가 나빠져도 어디로 연락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제대로 안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초기 일부 지역에서 혼선이 있었고, 지금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여전히 이 같은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현장에선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시 한 보건소 관계자는 “기존에는 확진자를 병원에 이송하는 것만으로 업무가 끝났지만, 재택치료는 처음부터 끝까지 행정직원들이 처리해야 한다”며 “인원 충원 없이 재택치료만 확대하는 건 ‘예고된 혼선’일 뿐”이라고 말했다.
의료계에선 위드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하루 신규 확진자가 5000~1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재택치료 환자가 늘어나면 혼란이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기준 전국의 재택치료 환자는 3049명이다. 지난달 말(1500여 명)에 비해 두 배 증가했다.
김탁 순천향대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위드 코로나는 선언적 조치만으로 가능한 게 아니라 보건의료체계 전반의 재조정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의원급, 일반병원급 의료기관에서도 코로나19 환자를 진료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