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 'SLBM 잠수함' 발사 성공 의식했나?…北 "5년 전 이미 성공" 강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일 北 조선중앙통신, 신형 SLBM 시험 발사 보도
북한이 전날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체에 대해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과학원은 19일 새형(신형) 잠수함발사탄도탄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국방과학원은 5년 전 첫 잠수함발사전략탄도탄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공화국의 군사적 강세를 시위한 '8·24영웅함'에서 또다시 새형의 잠수함발사탄도탄을 성공시킨 자랑과 영광을 안고 당 중앙에 충성의 보고를 드렸다고 했다"고 전했다.
또 "국방과학원은 측면기동 및 활공 도약 기동을 비롯한 많은 진화된 조종유도기술들이 도입된 새형의 잠수함발사탄도탄은 나라의 국방기술 고도화와 우리 해군의 수중작전 능력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도 덧붙였다. 활공 도약 기동은 미사일이 마지막 단계에서 다시 상승 활강하는 '풀업'(pull-up) 기동을 했다는 의미다.
이번에 발사한 신형 SLBM은 북한이 지난 11일 무기전시회인 '국방발전전람회'에서 공개한 '미니 SLBM'으로 보인다.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탄도미사일 발사체계를 수중 발사용으로 개량한 것이란 추정이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전날 이 신형 SLBM은 정점 고도 60㎞, 약 590㎞를 비행했다. 거리 상 남한의 주요 시설이나 주일미군기지 등을 겨냥해 개발된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이 이날 공개한 사진을 보면 잠수함(고래급·2000t급) 함교에 '824'라는 숫자도 눈길을 끈다. 5년 전인 2016년 8월 24일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 앞바다에서 첫 SLBM(북극성-1형)을 시험 발사한 것을 기념해 이름을 붙인 것이다.
다만 우리 정부는 당시엔 북한이 수중 잠수함 시험발사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잠수함이 아니라 바지선 등 수중 구조물을 이용한 시험발사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이 국내 처음으로 잠수함에서 SLBM 시험 발사를 참관하면서 이를 세계에서 7번째 성공이라고 발표한 것도 북한을 SLBM 운용국에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한은 최근 남한의 SLMB 시험발사 성공을 의식한 듯, 5년 전 북한이 먼저 성공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다만 이번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참관하지 않았다. 참관인의 격을 낮췄고, 보도도 총 4문장으로 비교적 간략했다는 평가다. 북한으로선 첫번째 SLBM 잠수함 발사가 아니란 점을 강조하려고 했거나 혹은 대화를 촉구하는 한국이나 미국을 의식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조선중앙통신은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과학원은 19일 새형(신형) 잠수함발사탄도탄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국방과학원은 5년 전 첫 잠수함발사전략탄도탄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공화국의 군사적 강세를 시위한 '8·24영웅함'에서 또다시 새형의 잠수함발사탄도탄을 성공시킨 자랑과 영광을 안고 당 중앙에 충성의 보고를 드렸다고 했다"고 전했다.
또 "국방과학원은 측면기동 및 활공 도약 기동을 비롯한 많은 진화된 조종유도기술들이 도입된 새형의 잠수함발사탄도탄은 나라의 국방기술 고도화와 우리 해군의 수중작전 능력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도 덧붙였다. 활공 도약 기동은 미사일이 마지막 단계에서 다시 상승 활강하는 '풀업'(pull-up) 기동을 했다는 의미다.
이번에 발사한 신형 SLBM은 북한이 지난 11일 무기전시회인 '국방발전전람회'에서 공개한 '미니 SLBM'으로 보인다.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탄도미사일 발사체계를 수중 발사용으로 개량한 것이란 추정이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전날 이 신형 SLBM은 정점 고도 60㎞, 약 590㎞를 비행했다. 거리 상 남한의 주요 시설이나 주일미군기지 등을 겨냥해 개발된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이 이날 공개한 사진을 보면 잠수함(고래급·2000t급) 함교에 '824'라는 숫자도 눈길을 끈다. 5년 전인 2016년 8월 24일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 앞바다에서 첫 SLBM(북극성-1형)을 시험 발사한 것을 기념해 이름을 붙인 것이다.
다만 우리 정부는 당시엔 북한이 수중 잠수함 시험발사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잠수함이 아니라 바지선 등 수중 구조물을 이용한 시험발사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이 국내 처음으로 잠수함에서 SLBM 시험 발사를 참관하면서 이를 세계에서 7번째 성공이라고 발표한 것도 북한을 SLBM 운용국에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한은 최근 남한의 SLMB 시험발사 성공을 의식한 듯, 5년 전 북한이 먼저 성공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다만 이번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참관하지 않았다. 참관인의 격을 낮췄고, 보도도 총 4문장으로 비교적 간략했다는 평가다. 북한으로선 첫번째 SLBM 잠수함 발사가 아니란 점을 강조하려고 했거나 혹은 대화를 촉구하는 한국이나 미국을 의식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