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SLBM 발사 다음날… 정의용 "제재 완화도 북핵 막기 위한 방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북한의 핵·미사일 전력 강화를 막기 위한 방편으로 ‘대북제재 완화’를 꼽았다. 북한이 2년만에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를 재개한 다음날이다. 북한이 대화에 응하면 미국도 대북제재 완화를 논의할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정 장관은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 성공을 발표한 시점에도 제재완화 검토가 변함없냐’는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북한이 더 이상 핵·미사일 능력을 발전하지 못하도록 어떤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한다고 본다”며 “그 방안 중에 제재 완화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북한이 대화에 응하는 상황”이 전제조건이라 덧붙였다.
대북제재 완화는 미국도 공감하는 입장이라고도 밝혔다. 정 장관은 ‘미국도 같은 입장이냐’는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의 질의에 “저는 그렇다고 본다”며 “미국은 지금까지 일관되게 북한이 대화에 나오면 모든 이슈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협의할 수 있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다. 반면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는 지난 18일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 직후 취재진에 “우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대북 제재를 유지할 뜻을 분명히 한 바 있다.
북한은 전날 오전 10시17분께 함경남도 신포 동쪽 해상에서 동해 방향으로 SLBM을 발사했다. 이번 미사일은 60㎞ 고도로 약 590㎞ 날아간 것으로 알려졌는데, 2년 전 발사한 것과는 다른 신형 SLBM으로 추정된다. 비행고도와 사거리를 고려했을 때 대남(對南) 타격용 ‘미니 SLBM’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장관은 종전선언의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정 장관은 ‘임기 말 무리한 종전선언 추진이 외교적 도박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박진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의원님 평가하고 판이하게 다르다”며 “종전선언은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하기 위한 여러 선택지 중 하나”라고 딱 잘라 말했다. 이어 “(종전선언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첫 관문이고 꼭 거쳐야 하는 단계”라고 강조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정 장관은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 성공을 발표한 시점에도 제재완화 검토가 변함없냐’는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북한이 더 이상 핵·미사일 능력을 발전하지 못하도록 어떤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한다고 본다”며 “그 방안 중에 제재 완화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북한이 대화에 응하는 상황”이 전제조건이라 덧붙였다.
대북제재 완화는 미국도 공감하는 입장이라고도 밝혔다. 정 장관은 ‘미국도 같은 입장이냐’는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의 질의에 “저는 그렇다고 본다”며 “미국은 지금까지 일관되게 북한이 대화에 나오면 모든 이슈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협의할 수 있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다. 반면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는 지난 18일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 직후 취재진에 “우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대북 제재를 유지할 뜻을 분명히 한 바 있다.
북한은 전날 오전 10시17분께 함경남도 신포 동쪽 해상에서 동해 방향으로 SLBM을 발사했다. 이번 미사일은 60㎞ 고도로 약 590㎞ 날아간 것으로 알려졌는데, 2년 전 발사한 것과는 다른 신형 SLBM으로 추정된다. 비행고도와 사거리를 고려했을 때 대남(對南) 타격용 ‘미니 SLBM’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장관은 종전선언의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정 장관은 ‘임기 말 무리한 종전선언 추진이 외교적 도박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박진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의원님 평가하고 판이하게 다르다”며 “종전선언은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하기 위한 여러 선택지 중 하나”라고 딱 잘라 말했다. 이어 “(종전선언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첫 관문이고 꼭 거쳐야 하는 단계”라고 강조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