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20세기 초 제작…"독립 열망 보여주는 대표 유물"
'데니·김구 서명문·진관사' 태극기 3점 보물 됐다
한국인 정체성을 지켜내려는 간절한 염원이 담겨 역사적 의미가 큰 태극기 유물 3점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광복절을 앞두고 예고한 '데니 태극기', '김구 서명문 태극기', '서울 진관사 태극기'를 모두 보물로 지정했다고 25일 밝혔다.

태극기가 보물로 지정되기는 처음으로, 세 유물은 2008∼2010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됐다.

국가등록문화재인 태극기는 약 20점이 존재하는데, 보물이 된 태극기 3점은 비교적 제작 시기가 이르고 제작 배경이 명확하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태극기는 1882년에 만들어졌다고 알려졌으나, 기원은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다.

고종은 이듬해 3월 6일 전국에 태극기 사용을 선포했는데, 당시에는 상세한 규격 등을 정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태극기가 제작됐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데니 태극기는 현존 태극기 중에 가장 오래됐다.

가로 262㎝·세로 182.5㎝로 옛 태극기 가운데 가장 크다.

이 태극기는 1886년 조선 정부의 외교·내무 담당 고문으로 부임했다가 1891년 1월 조선을 떠난 미국인 오웬 니커슨 데니(1838∼1900) 소장품이었다.

고종이 1890년쯤 데니에게 하사했다고 전하며, 데니 후손이 1981년 우리나라에 기증했다.

서양 국기 제작 방법을 참조해 태극과 사괘(四卦)는 바탕천을 오려내고 두 줄로 정교하게 박음질해 문양이 또렷하게 보이도록 했다.

최근 조사에서는 깃대에 머리카락 혹은 동물 털 뭉치를 채워 넣어 지지력을 높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당시에는 위아래 고리를 활용해 깃발을 게양했는데, 그때 태극기가 잘 버티도록 고안한 장치였다.

'데니·김구 서명문·진관사' 태극기 3점 보물 됐다
김구 서명문 태극기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김구 주석이 1941년 3월 16일 중국에서 글을 적어 벨기에 신부 매우사(梅雨絲, 본명 샤를 미우스)에게 준 유물이다.

김구는 태극기에 "원수 일본을 타도하고 조국의 독립을 완성하자"고 쓰고, 마지막에 김구(金九)라고 새긴 작은 도장을 찍었다.

매우사 신부는 미국으로 건너가 안창호의 부인 이혜련에게 태극기를 전했고, 후손들이 보관해 오다 '안창호 유품' 중 일부로 1985년 3월 독립기념관에 기증했다.

크기는 가로 62㎝·세로 44.3㎝이며, 비단에 청색과 홍색 천으로 태극을 붙이고 검은색 천으로 사괘를 덧대어 만들었다.

은평구 북한산 진관사에 있는 태극기는 2009년 5월 사찰 부속 건물인 칠성각 보수 공사 중에 불단 안쪽 벽체에서 나왔다.

우리나라 사찰에서 최초로 발견된 일제강점기 태극기다.

수습 당시 '경고문', '조선독립신문' 등 독립신문류 5종 19점이 태극기 안에서 확인됐다.

신문 발행 시점이 1919년 6월 6일부터 12월 25일 사이여서 태극기도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 무렵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불에 타 손상된 흔적과 구멍이 곳곳에 있어 3·1운동이나 이후 독립운동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됐다.

또 일장기 위에 태극의 청색 부분과 사괘를 먹으로 덧칠해 만든 점이 특징으로, 일장기 위에 태극기를 그린 유일한 사례여서 항일운동사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보물로 지정한 태극기 3점은 일제강점기 혹독한 시련 속에서 독립 열망을 지켜내려는 염원을 담은 문화재이자 국기 제작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근대사의 대표 유물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데니·김구 서명문·진관사' 태극기 3점 보물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