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11월 1일~12월 12일)에선 족쇄와도 같았던 운영(영업)시간 제한이 사라진다. 다만 유흥 및 실내체육시설 등은 백신 접종완료자와 코로나 검사 음성확인자만 출입을 허용하는 ‘백신 패스’가 적용된다. 사적 모임은 백신 접종 여부에 관계없이 전국적으로 10명까지 허용된다. ‘델타 변이’ 같은 돌발변수만 없다면 3단계가 시작되는 내년 1월 24일부터 시설 운영, 행사, 사적 모임 등의 규제가 모두 해제될 전망이다.
처음부터 완벽한 로드맵을 세우긴 어렵다. 시행 과정에서 현장 목소리와 전문가 의견을 경청하고 정밀 보완책 마련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위드 코로나에 대한 국민의 수용성을 높이는 일이다. 비과학적이고 과도한 공포심을 경계하고, 이를 자극·조장해서도 안 된다. 코로나가 독감 수준의 엔데믹(주기적 유행병)이 될 수 있고, 접종자는 감염되더라도 경증에 그칠 확률이 높으며, 치료제 개발도 코앞이란 점에서 이젠 희망을 가져야 할 때다. 매일 스포츠 중계하듯 발표해온 신규 확진자수 대신 치명률과 감염재생산지수, 병상 여력 등 다른 지표의 흐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완전히 허리띠를 푸는 식의 방심은 금물이다. 국민 각자가 마스크 쓰기 등 최소한의 방역수칙 준수에 유념하는 것은 변함없다. 영국 싱가포르 사례에서 보듯, 일상 복귀는 확진자 증가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재택치료자 10만 명’ 상황까지 각오하고 응급의료체계 가동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아울러 일상 복귀를 앞둔 지금, 그동안 위기대응 리더십이 적절했는지는 따져볼 필요가 있다. “이번 주가 최대 고비”라며 거리두기를 ‘2주씩 연장’해온 게 벌써 스무 차례가 넘는다. 정부는 위기 모면에 급급해 자영업자들의 희생을 강요하면서, 조금 나아지면 ‘K방역’을 자화자찬하기 바쁘지 않았는가. 작년 3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정부가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솔직하게 상황을 설명하고 국민 협조를 당부했던 ‘정직의 리더십’과 대비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국회 시정연설에서 “위기 극복에 전념하며 완전한 일상회복과 경제회복을 이루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한 다짐을 국민은 또렷이 기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