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용의 디지털세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칠 때가 지금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위드코로나' 디지털 방역체계 세워야
싱가포르 전국민 '블루투스 앱' 사용
'좁혀진 거리' 위치추적 기술 활용할만
박수용 <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
싱가포르 전국민 '블루투스 앱' 사용
'좁혀진 거리' 위치추적 기술 활용할만
박수용 <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피로도가 한계점에 다다른 상황에서 점차 위드코로나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전 세계적으로 영국을 필두로 싱가포르, 프랑스, 독일, 덴마크 등 주요 국가에서 위드코로나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관건은 의료대응 체계다. 위드코로나로 가기 위한 의료 대응체계는 진료체계와 방역체계로 나눠 볼 수 있다. 진료체계는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치명률을 낮춰 사망자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방역체계는 확진 검사 및 역학 조사를 통해 감염자 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다. 필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방역체계다. 국가가 방역체계를 잘 갖추고 있으면 어떤 감염병이 공격해 와도 감염자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해 진료체계를 유지하면서 감염병을 퇴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과연 제대로 된 방역체계를 갖추고 있었나 하는 의문이 든다. 한 세미나에서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는 감염 이후 증상이 발현될 때까지 평균 5일 정도 걸리는데 바이러스 전염 가능 기간은 감염 후 2일 뒤부터 시작돼 증상 발현 하루 전에 가장 바이러스 배출량이 많다고 한다. 개인이 감염돼 증상을 느끼고 검사받으러 가거나 타인과의 접촉을 자제해도 이미 늦었다는 것이다.
그러면 증상을 느끼기 훨씬 전에 감염 의심자가 검사를 받도록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에는 감염자 경로를 파악하고 그 당시 같은 장소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에게 통보하는 데 5~10일이 걸리는 우리의 역학조사 시스템은 턱없이 느리다. 역학조사 속도가 느린 것뿐만 아니라 카드 결제내역, QR코드 정보, GPS 정보, 폐쇄회로TV(CCTV) 정보 등을 기반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해 밀접접촉자를 파악하는 방식은 무겁고 통제적이며, 개인정보 유출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정확도도 떨어져 한 건물에 확진자가 나오면 건물 전체 인원이 검사받아야 하는 등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 현실이다.
방역체계는 허술하지만 그래도 우리가 코로나를 통제할 수 있었던 것은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국가 시스템이라기보다 방역체계의 책무를 국민에게 부과한 정책이라고 생각된다. 감염자의 실시간 추적과 차단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사람들 간의 모임과 이동을 엄격히 제한함으로써 감염자 수 증가를 억제하는 방법인 것이다. 한두 번이나 잠시 동안은 통제할 수 있어도 1년이 지나고 2년이 돼가는 상황에서 지친 국민들의 일상과 침체에 빠진 경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싱가포르는 ‘Trace together’라는 앱을 전 국민이 필수적으로 설치해 사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블루투스라는 기술을 이용해 상점, 건물, 버스 등 한 공간에 있었던 사람들을 파악하고 확진자가 나왔을 때 그 공간에 있던 사람들에게 실시간 통보한다. 블루투스 기술의 한계가 있음에도 실시간으로 밀접접촉자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빠르게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국가 방역체계를 갖추고 위드코로나를 실행하고 있는 것이다. 정보기술(IT)을 전문으로 하는 필자의 눈에는 우리가 싱가포르의 방법보다 훨씬 좋은 하이브리드 비컨과 같은 역학 추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개인 정보도 보호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 등이 있으니 더 좋은 방역체계를 구축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소상공인이 엄청난 피해를 보고, 사회적 취약 계층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등 이미 수많은 소를 잃은 상황이다. 위드코로나로 전환되면 더 이상 국가 방역체계가 필요한가 생각할 수 있으나 국민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거리두기 효과는 더 촘촘히 해야 하는 시점이 된 것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칠 시기가 지금이다.
관건은 의료대응 체계다. 위드코로나로 가기 위한 의료 대응체계는 진료체계와 방역체계로 나눠 볼 수 있다. 진료체계는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치명률을 낮춰 사망자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방역체계는 확진 검사 및 역학 조사를 통해 감염자 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다. 필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방역체계다. 국가가 방역체계를 잘 갖추고 있으면 어떤 감염병이 공격해 와도 감염자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해 진료체계를 유지하면서 감염병을 퇴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과연 제대로 된 방역체계를 갖추고 있었나 하는 의문이 든다. 한 세미나에서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는 감염 이후 증상이 발현될 때까지 평균 5일 정도 걸리는데 바이러스 전염 가능 기간은 감염 후 2일 뒤부터 시작돼 증상 발현 하루 전에 가장 바이러스 배출량이 많다고 한다. 개인이 감염돼 증상을 느끼고 검사받으러 가거나 타인과의 접촉을 자제해도 이미 늦었다는 것이다.
그러면 증상을 느끼기 훨씬 전에 감염 의심자가 검사를 받도록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에는 감염자 경로를 파악하고 그 당시 같은 장소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에게 통보하는 데 5~10일이 걸리는 우리의 역학조사 시스템은 턱없이 느리다. 역학조사 속도가 느린 것뿐만 아니라 카드 결제내역, QR코드 정보, GPS 정보, 폐쇄회로TV(CCTV) 정보 등을 기반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해 밀접접촉자를 파악하는 방식은 무겁고 통제적이며, 개인정보 유출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정확도도 떨어져 한 건물에 확진자가 나오면 건물 전체 인원이 검사받아야 하는 등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 현실이다.
방역체계는 허술하지만 그래도 우리가 코로나를 통제할 수 있었던 것은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국가 시스템이라기보다 방역체계의 책무를 국민에게 부과한 정책이라고 생각된다. 감염자의 실시간 추적과 차단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사람들 간의 모임과 이동을 엄격히 제한함으로써 감염자 수 증가를 억제하는 방법인 것이다. 한두 번이나 잠시 동안은 통제할 수 있어도 1년이 지나고 2년이 돼가는 상황에서 지친 국민들의 일상과 침체에 빠진 경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싱가포르는 ‘Trace together’라는 앱을 전 국민이 필수적으로 설치해 사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블루투스라는 기술을 이용해 상점, 건물, 버스 등 한 공간에 있었던 사람들을 파악하고 확진자가 나왔을 때 그 공간에 있던 사람들에게 실시간 통보한다. 블루투스 기술의 한계가 있음에도 실시간으로 밀접접촉자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빠르게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국가 방역체계를 갖추고 위드코로나를 실행하고 있는 것이다. 정보기술(IT)을 전문으로 하는 필자의 눈에는 우리가 싱가포르의 방법보다 훨씬 좋은 하이브리드 비컨과 같은 역학 추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개인 정보도 보호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 등이 있으니 더 좋은 방역체계를 구축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소상공인이 엄청난 피해를 보고, 사회적 취약 계층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등 이미 수많은 소를 잃은 상황이다. 위드코로나로 전환되면 더 이상 국가 방역체계가 필요한가 생각할 수 있으나 국민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거리두기 효과는 더 촘촘히 해야 하는 시점이 된 것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칠 시기가 지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