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누가 이재명 이길수 있나…元, 재발견되고 있다" [인터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용태 원희룡 캠프 총괄선대본부장은 2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급격한 지지율 상승추세와 관련해 이렇게 말했다.
김 본부장은 "능력은 정치권에서 이미 검증됐지만, 인지도가 부족했었다"며 "최근 대장동 1타 강사, 이재명 저격수 등으로 리브랜딩 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충분히 준비된 대통령 후보가 비로소 기회를 만난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본부장은 이번 경선에서 '누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이길수 있는가'에 대한 '전략적 투표'로 인해 원 후보가 충분히 승리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는 본선에서 이변없이 확실하게 이길만한 후보는 원 후보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끈질길 정도로 소통 중시"
김 본부장이 지켜본 원 후보의 가장 큰 장점은 '끈질긴 소통능력'이다. 그는 원 후보를 '소통의 천재'라고 지칭했다. 김 본부장은 "대통령 역사상 최초로 현장을 찾아 국민들과 소통하고, 국회를 직접 찾아 의원들을 설득하는 대통령을 보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그는 "어떻게든 타협해서 결과 만들어내는 사람"이라며 "지도자로서 굉장히 중요한 자질"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자리라는게 행정수반이면서 최고 정치지도자인데 사실 정치지도자의 역할이 본령"이라며 "원 후보는 이점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슈가 된 '대장동 1타 강사'가 만들어진 과정도 소개했다. 김 본부장은 "후보의 역량과 마치 기업과 같은 효율적인 팀제 조직의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다른 후보 캠프가 뭔가를 결정하면 '위로 올라가서 회의 그 위로 올라가서 또 회의하는' 전통적 관료제에 가깝다면, 원희룡 캠프는 각 팀 별 책임을 지고 후보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체제"라면서 "대장동 1타강사라는 성과도 유연한 사고를 가진 한 팀의 젊은 참모의 제안을 원 후보가 받아들이면서 나온 결과물"이라고 했다.
"진심으로 미래 먹거리 고민하는 지도자필요...산업화 위해 경부고속도로 깔 듯 탄소중립 맞춤체제로 완전히 바꿔야"

김 본부장은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과 함께 국가의 에너지 독점 공급체계를 완전히 깨야 한다"고 했다. 그는 "궁극적으로 가정용과 산업용이 완전히 분리되고, 산업용은 재생에너지가 강제되는 시기가 올 것"이라며 "삼성이나 하이닉스가 반도체를 생산할때 재생에너지를 쓰려고 한다면 규모의 경제를 이용해 기업 본인이 단가를 낮춰서 직접 생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탄소중립체제에 맞는 더 효율적인 에너지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런식의 국가 에너지 체계 개혁을 위해 차기 정부에서 과감하게 인프라를 깔아야 한다"고 했다. 또 "인프라 관련 기술지원에도 천문학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며 "비용처럼 생각할 수 있지만, 결국 현금으로 돌아오는 황금알 낳는 거위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다만 기업에 대부분의 부담을 지우고 있는 현재의 '문재인식' 탄소중립 정책은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 본부장은 "문 정부는 삼성이나 포스코 같은 기업에게 거의 모든 비용과 기술 개발 부담을 지우고 있다"며 "또 에너지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없이 비현실적 요구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AI 산업과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전체를 AI 신기술이 시험되는 '테스트베드'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초기 휴대폰시장에서 여러 표준이 경쟁했지만 한국의 테스트베드에서 CDMA가 표준기술로 쓰인 결과, 이게 전세계 표준이 됐다"며 "인공지능도 마찬가지여야 한다"고 했다.
성상훈/이동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