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MZ세대와 본격 소통 ‘거꾸로멘토링’ 실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거꾸로 조직도’를 보며 섬김의 리더십을 통해 상호 간 이해, 참여와 소통, 그리고 유연한 조직문화를 강조하는 이광형 총장의 경영철학을 행정 부문에 적용해 KAIST만의 고유문화를 형성하겠다는 취지다.
사회적 요구에 발맞춘 정책과 제도 발굴, 의견수렴, 공감대 형성 등의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눈여겨볼 점은 가장 젊은 세대에서 위원장을 맡도록 해 젊은 세대로부터의 자연스러운 변화와 혁신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박효은 거꾸로행정위원회 위원장은 “새로운 세대의 목소리를 공식적으로 낼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위원회의 젊은 목소리가 정책과 제도에 적극적으로 반영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AIST는 거꾸로행정위원회 출범과 함께 거꾸로멘토링도 시행할 예정이다.
이는 MZ세대의 문화와 가치관을 직급·나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교류하기 위해 기획했다.
30대 미만의 MZ세대로 구성된 멘토들은 운영방식과 장소 등을 주도적으로 정하고 월 1~2회 멘티와의 만남을 통해 교류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 최신 어플리케이션과 SNS 활용법, 메타버스 등 IT 기술을 공유하며 역량향상의 장이 될 것으로 학교 측은 기대하고 있다.
멘티로 참여한 정선태 행정부장은 “KAIST에 처음 입사했을 때의 초심으로 돌아가 젊은 세대와 소통하고 공감하겠다”며 “사회와 직장의 다수를 이루고 있는 MZ세대의 사고와 문화를 이해하며 함께 성장하고 발전할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거꾸로행정위원회와거꾸로멘토링은 KAIST 직원들이 행정의 변화와 혁신을 구체적으로 실행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행정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해 2019년 출판했던 ‘행정도 과학이다’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학교 측은 소개했다.
행정부장 시절부터 행정의 혁신을 이끌어오고 있는 방진섭 행정처장은 “변화와 혁신은 그 내용뿐 아니라 구성원을 ‘주체’로 인식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며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변화 공감대를 형성해 스스로 혁신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