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안 기업가치 600억 달러는 GM,포드 사망선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2의 테슬라'로 불리는 미국의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의 기업가치가 600억 달러에 달한다면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 기존 업체에 큰 문제가 생길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혼다, 포드 등과 맞먹는 이런 기업가치는 수요가 포화된 미국 트럭 시장을 리비안이 빠르게 잠식할 것이란 예상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이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다음주 나스닥에 상장할 예정인 리비안은 주당 57∼62달러에 1억3500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모가가 희망 범위 상단으로 확정되면 시가총액은 6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WSJ은 전했다. 이는 혼다, 포드 등과 비슷한 규모다. 혼다의 기업가치는 약 530억달러, 포드는 718억 달러 수준이다.
리비안의 주력 제품은 전기 픽업트럭·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다. 2019년부터 지금까지 아마존, 포드 등으로부터 약 105억달러를 투자받았다. 아마존은 약 20%, 포드는 약 1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WSJ은 리비안이 GM, 포드에 경쟁적인 위협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리비안은 지난 9월 전기차 픽업트럭 R1T를 시장에 내놓았고, 올 연말까지 중형 SUV R1S, 아마존 배달용 전기 밴 트럭 등 올해 3종의 신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GM은 허머, 포드 F150 라이트링 등 트럭 시장에 잇따라 전기차를 내놓고 있다. WSJ은 "전기 트럭을 둘러싼 전쟁은 잔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모두 수십억 달러를 퍼붓고 있다. 차이점은 리비안은 IPO를 통한 80억 달러 등 투자자로부터 현금을 조달하고 있지만 GM과 포드는 내연기관 트럭과 SUV 등을 팔아 자금을 대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트럭을 둘러싼 이들의 경쟁이 어떻게 끝날 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WSJ은 GM과 포드의 주가도 최근 급등한 상태지만 시간이 흐르면 이들 모두의 주가가 긍정적일 수는 없다고 분석했다. 누군가는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포드가 리비안에 대한 12% 지분 투자로 60억 달러를 벌 수 있지만, 이는 경쟁에 밀릴 경우 잃을 수 있는 기업가치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다음주 나스닥에 상장할 예정인 리비안은 주당 57∼62달러에 1억3500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모가가 희망 범위 상단으로 확정되면 시가총액은 6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WSJ은 전했다. 이는 혼다, 포드 등과 비슷한 규모다. 혼다의 기업가치는 약 530억달러, 포드는 718억 달러 수준이다.
리비안의 주력 제품은 전기 픽업트럭·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다. 2019년부터 지금까지 아마존, 포드 등으로부터 약 105억달러를 투자받았다. 아마존은 약 20%, 포드는 약 1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WSJ은 리비안이 GM, 포드에 경쟁적인 위협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리비안은 지난 9월 전기차 픽업트럭 R1T를 시장에 내놓았고, 올 연말까지 중형 SUV R1S, 아마존 배달용 전기 밴 트럭 등 올해 3종의 신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GM은 허머, 포드 F150 라이트링 등 트럭 시장에 잇따라 전기차를 내놓고 있다. WSJ은 "전기 트럭을 둘러싼 전쟁은 잔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모두 수십억 달러를 퍼붓고 있다. 차이점은 리비안은 IPO를 통한 80억 달러 등 투자자로부터 현금을 조달하고 있지만 GM과 포드는 내연기관 트럭과 SUV 등을 팔아 자금을 대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트럭을 둘러싼 이들의 경쟁이 어떻게 끝날 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WSJ은 GM과 포드의 주가도 최근 급등한 상태지만 시간이 흐르면 이들 모두의 주가가 긍정적일 수는 없다고 분석했다. 누군가는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포드가 리비안에 대한 12% 지분 투자로 60억 달러를 벌 수 있지만, 이는 경쟁에 밀릴 경우 잃을 수 있는 기업가치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