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주택형' 전용면적 84㎡…전셋값 15억 넘는 곳만 53곳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에서 이른바 ‘국민 주택형’으로 불리는 전용면적 84㎡ 전셋값이 15억원을 넘어선 아파트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 상승 속에 지난해 임대차보호법 시행으로 전셋값이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3일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전용 84㎡ 기준 전세보증금이 15억원 넘는 서울 아파트는 2018년 3곳에 불과했으나 올해 53곳으로 늘었다. 지역별로는 강남구에 있는 26개 단지에서 전셋값이 15억원을 넘겼다. 이어 서초구 21곳, 송파구 4곳, 성동구와 동작구 각 1곳으로 나타났다. 2018년 17건이었던 보증금 15억원 초과 전세거래 건수도 2019년 50건, 지난해 231건, 올해 351건 등으로 급증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지난해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한 행사 물건의 계약이 내년 만료되는 만큼 전셋값 급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3일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전용 84㎡ 기준 전세보증금이 15억원 넘는 서울 아파트는 2018년 3곳에 불과했으나 올해 53곳으로 늘었다. 지역별로는 강남구에 있는 26개 단지에서 전셋값이 15억원을 넘겼다. 이어 서초구 21곳, 송파구 4곳, 성동구와 동작구 각 1곳으로 나타났다. 2018년 17건이었던 보증금 15억원 초과 전세거래 건수도 2019년 50건, 지난해 231건, 올해 351건 등으로 급증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지난해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한 행사 물건의 계약이 내년 만료되는 만큼 전셋값 급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