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조원 과잉 공급 고려해 유동성 흡수 나서
급격한 금리 인상 대신 단계적 조치 추진
'경기 회복세' 인도도 양적완화 점진적 축소 움직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일(현지시간) 이번 달부터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 들어간다고 밝힌 가운데 경제 규모 세계 6위의 인도도 단계적으로 양적완화 조치를 줄여가고 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시장에 푼 돈을 회수해 인플레이션 부담을 줄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샤크티칸타 다스 인도중앙은행(RBI) 총재는 지난달부터 코로나19 사태 후 1년 반 동안 지속된 양적완화 정책에 변화를 주겠다는 뜻을 비쳐왔다.

다스 총재는 시장에 13조루피(약 206조원)의 유동성이 더 공급됐다는 점을 고려해 중앙은행은 단기 역레포 금리 조정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과잉 유동성을 흡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역레포는 통화 당국이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발행된 국채나 정부보증채 등을 사들이는 공개시장 조작 중 하나인데 이 금리를 인상해 유동성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달 초 역레포 금리 조정 작업이 일부 이뤄졌으며 당국은 아울러 일반 자산매입을 통한 유동성 공급 조치도 중단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인도 경제가 코로나19 사태를 딛고 어느 정도 정상 궤도에 진입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 판단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인도 대표 주가지수인 뭄바이 증시 센섹스(SENSEX) 지수가 지난달 중순 역대 최고치인 6만2천245를 기록하는 등 증시가 활황세를 보이고 있고, 경제성장률도 올해 1분기 1.6%, 2분기 20.1%를 각각 기록하는 등 빠르게 경기가 살아나는 분위기다.

'경기 회복세' 인도도 양적완화 점진적 축소 움직임
정부 세수도 예상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인도 경제지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2021-2022 회계연도(해마다 4월에 시작) 세수 목표를 15조5천억루피(약 245조원)로 잡았는데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지면서 실제 세수는 이보다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만, 당국은 시장 충격을 줄이기 위해 급격한 양적완화 중단이나 금리 인상은 피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인도 당국은 지난해 5월 기준 금리를 4.4%에서 4.0%로 내렸고 이후엔 변화를 주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다스 총재는 "우리는 지금 해변에 다가가고 있는데 보트를 흔들고 싶지는 않다"며 우리는 해변 너머로 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앞서 인도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직후인 지난 3월과 지난 6월 각각 20조루피(약 316조원), 6조3천억루피(약 100조원)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차례로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연방 정부는 금융 당국의 양적완화 축소 조치와는 별개로 이런 경기 부양 관련 지출은 예정대로 진행할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당국이 이같은 정책을 추진하다가 내년 상반기쯤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