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 '기관 물량' 8일부터 쏟아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분기 실적 부진에 악재 겹쳐
주가 당분간 반등 쉽지 않을 듯
주가 당분간 반등 쉽지 않을 듯
카카오뱅크가 또 다른 시험대에 선다. 3분기 실적이 부진했던 데다 오는 8일부터는 3개월 보호예수로 묶여 있던 물량도 풀리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선 카카오뱅크가 정부의 대출 규제에 따른 성장 둔화를 넘어설 만큼 플랫폼 이익을 늘릴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고 본다.
4일 카카오뱅크는 1.01% 오른 6만원에 장을 마쳤다. 소폭 상승 마감했으나 지난 3일 7%대 급락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가 회복은 요원한 상태다. 카카오뱅크는 상장 직후인 지난 8월 18일 장중 9만4000원까지 올랐다가 이후 우하향하면서 주가가 거의 반토막 났다.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된 탓이다.
이런 우려를 증폭시킨 게 3분기 실적이었다. 2일 카카오뱅크는 3분기 순이익이 5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25%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증권가 컨센서스를 32% 밑돈 수치다. 중저신용자 대출 증가에 따른 대손비용률이 상승한 게 원인이었다.
문제는 보호예수 물량도 곧 시장에 풀린다는 점이다. 5일을 마지막으로 3개월 보호예수로 묶여 있던 기관 보유분 카카오뱅크 506만 주가 시장에 풀린다. 전체 상장 주식의 약 1%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보유확약을 걸었던 넷마블의 762만 주와 스카이블루럭셔리인베스트먼트의 762만 주도 같이 풀린다. 합하면 전체 상장 주식의 4.3%에 해당한다.
증권가에선 실적 부진에 보호예수 물량 해제까지 겹친 상황이라 당분간 주가가 반등하긴 어렵다고 본다. 관건은 카카오뱅크가 장기적 성장스토리를 실적으로 보여줄 수 있느냐다. 카카오뱅크가 플랫폼 기반의 탄탄한 실적을 증명해 나간다면 장기적으론 주가가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제반 상황을 감안할 때 이마저 어렵다고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이병건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카카오뱅크 수익의 96%가 가계대출 예대마진에서 창출되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율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는 상당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며 “플랫폼 수익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연계대출 역시 2금융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강화의 직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향후 실적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4일 카카오뱅크는 1.01% 오른 6만원에 장을 마쳤다. 소폭 상승 마감했으나 지난 3일 7%대 급락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가 회복은 요원한 상태다. 카카오뱅크는 상장 직후인 지난 8월 18일 장중 9만4000원까지 올랐다가 이후 우하향하면서 주가가 거의 반토막 났다.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된 탓이다.
이런 우려를 증폭시킨 게 3분기 실적이었다. 2일 카카오뱅크는 3분기 순이익이 5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25%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증권가 컨센서스를 32% 밑돈 수치다. 중저신용자 대출 증가에 따른 대손비용률이 상승한 게 원인이었다.
문제는 보호예수 물량도 곧 시장에 풀린다는 점이다. 5일을 마지막으로 3개월 보호예수로 묶여 있던 기관 보유분 카카오뱅크 506만 주가 시장에 풀린다. 전체 상장 주식의 약 1%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보유확약을 걸었던 넷마블의 762만 주와 스카이블루럭셔리인베스트먼트의 762만 주도 같이 풀린다. 합하면 전체 상장 주식의 4.3%에 해당한다.
증권가에선 실적 부진에 보호예수 물량 해제까지 겹친 상황이라 당분간 주가가 반등하긴 어렵다고 본다. 관건은 카카오뱅크가 장기적 성장스토리를 실적으로 보여줄 수 있느냐다. 카카오뱅크가 플랫폼 기반의 탄탄한 실적을 증명해 나간다면 장기적으론 주가가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제반 상황을 감안할 때 이마저 어렵다고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이병건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카카오뱅크 수익의 96%가 가계대출 예대마진에서 창출되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율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는 상당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며 “플랫폼 수익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연계대출 역시 2금융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강화의 직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향후 실적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