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너무 다른 미국과 한국의 창업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부와 적극 소통하는 美 CEO
판교 빅테크 창업자는 두문불출
美처럼 '기업인의 야성' 보여줘야"
황정수 실리콘밸리 특파원
판교 빅테크 창업자는 두문불출
美처럼 '기업인의 야성' 보여줘야"
황정수 실리콘밸리 특파원
미국 실리콘밸리의 식당이나 카페에선 종종 유명 기업인을 볼 수 있다. 샌드위치가 맛있기로 유명한 멘로파크의 한 커피바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주 온다. 스탠퍼드대에서 멀지 않은 팰로앨토의 유니버시티애비뉴 식당가에는 팀 쿡 애플 CEO의 단골 베트남 식당, 마크 저커버그 메타(옛 페이스북) CEO가 즐겨 찾는 맥주집 등이 있다. 한 지인은 “최근 점심을 먹는데 도어대시(미국 1위 배달업체) 창업자가 식당 옆 테이블에 앉아 있었다”며 대수롭지 않게 말했다. 유명 인사들의 단골식당은 한국의 호텔 레스토랑처럼 한 끼에 10만원, 20만원 하는 곳도 아니다.
“여기에선 슬리퍼에 트레이닝복을 입고 돌아다녀도 함부로 무시하지 않아요.” 베이 에어리어(샌프란시스코 광역도시권)에 본사가 있는 유명 기술기업에 다니는 한 직장인의 얘기다.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는 인도인, 종이상자에 음식을 담아 가는 중국인 등 평범해 보이는 사람들 가운데서도 억만장자급 부자가 부지기수라는 이유에서다. 한 스타트업 창업자는 “실리콘밸리에선 겸손함을 배우게 된다”고 말했다. 이름만 들어도 다 아는 글로벌 스타트업 직원들이 같은 빌딩 옆 사무실에서 치열하게 일하는 것을 보면 ‘작은 성공’에 만족할 때가 아니라는 걸 뼈저리게 느낀다는 얘기다.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경기 성남 판교와 쿠팡, 배달의민족 본사가 있는 서울 잠실 등은 어떨까. 한국판 빅테크 ‘네카라쿠배(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민족)’에 다니는 지인들에게 ‘이해진, 김범수, 김범석 등 창업자들이 즐겨 찾는다는 식당이나 술집을 아냐’고 물었더니 모두 “모른다”고 답했다. ‘본사 몇 층에 VIP만의 전용 공간이 있다더라’, ‘우리 의장님은 평소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없다’ 등의 얘기만 돌아왔다.
어찌 보면 당연한 대답이다. 기자들도 한국판 빅테크 창업자를 접하는 게 쉽지 않다. 1년에 한두 번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그나마 얼굴을 보고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의원들에게 질책받는 모습이 대부분이다. “규제를 풀어달라”며 앓는 소리는 하지만 ‘번뜩임’은 찾을 수 없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 빅테크 창업자들의 폐쇄성은 이름 뒤에 흔히 붙는 ‘의장’ 등의 단어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는 게 스타트업 업계의 한결같은 평가다. 주요 경영 판단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법적 책임을 지는 ‘대표(CEO)’라는 타이틀을 단 인물은 찾기 어렵다. 업계에선 ‘회장’이란 단어는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해서 CEO 타이틀을 갖는 것은 싫어서 생각해낸 게 ‘의장’이란 해석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CEO 위에 막후 실력자가 있는 ‘옥상옥’ 경영 구조 때문에 의사결정 과정이 늘어나고 직원들의 혼란이 커진다는 비판도 있다.
판교의 의장님들이 두문불출하는 사이 실리콘밸리의 ‘진짜 빅테크’ 창업자 겸 대표들은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머스크와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우주를 향한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저커버그는 사명까지 바꾸고 신사업을 향한 닻을 올렸다. 현상 유지만 해도 2~3대는 편하게 먹고 살 텐데 만족할 줄 모르는 기업인의 ‘야성(野性)’을 뿜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외부와의 소통에도 적극적이다. 애플의 팀 쿡, 마이크로소프트의 사티아 나델라 등 유명 CEO들은 다양한 콘퍼런스에 등장해 한두 시간 회사의 비전을 공개하고 주주들을 설득한다. 설화로 종종 곤욕을 치르는 머스크도 SNS를 통해 전 세계의 테슬라 팬들과 스스럼없이 대화한다. 머스크는 SNS에서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듣고 나면 테슬라 직원들에게 검토를 지시한다고 한다. 소통의 순기능이다.
최근 만난 한 기업인은 “한국에서 빅테크라고 불리는 기업들이 최근 수년간 ‘깜짝 놀랄 만한’ 사업이나 ‘미래 비전’을 제시한 사례를 찾기 힘들다”고 말했다. 네카라쿠배가 몸집만 커진 ‘그저 그런 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얘기다.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삼성 현대차 SK LG 같은 대기업이 혁신기업에 가까운 것 같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때 혁신의 상징이었던 판교의 의장님들은 지금 어디에서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
“여기에선 슬리퍼에 트레이닝복을 입고 돌아다녀도 함부로 무시하지 않아요.” 베이 에어리어(샌프란시스코 광역도시권)에 본사가 있는 유명 기술기업에 다니는 한 직장인의 얘기다.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는 인도인, 종이상자에 음식을 담아 가는 중국인 등 평범해 보이는 사람들 가운데서도 억만장자급 부자가 부지기수라는 이유에서다. 한 스타트업 창업자는 “실리콘밸리에선 겸손함을 배우게 된다”고 말했다. 이름만 들어도 다 아는 글로벌 스타트업 직원들이 같은 빌딩 옆 사무실에서 치열하게 일하는 것을 보면 ‘작은 성공’에 만족할 때가 아니라는 걸 뼈저리게 느낀다는 얘기다.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경기 성남 판교와 쿠팡, 배달의민족 본사가 있는 서울 잠실 등은 어떨까. 한국판 빅테크 ‘네카라쿠배(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민족)’에 다니는 지인들에게 ‘이해진, 김범수, 김범석 등 창업자들이 즐겨 찾는다는 식당이나 술집을 아냐’고 물었더니 모두 “모른다”고 답했다. ‘본사 몇 층에 VIP만의 전용 공간이 있다더라’, ‘우리 의장님은 평소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없다’ 등의 얘기만 돌아왔다.
어찌 보면 당연한 대답이다. 기자들도 한국판 빅테크 창업자를 접하는 게 쉽지 않다. 1년에 한두 번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그나마 얼굴을 보고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의원들에게 질책받는 모습이 대부분이다. “규제를 풀어달라”며 앓는 소리는 하지만 ‘번뜩임’은 찾을 수 없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 빅테크 창업자들의 폐쇄성은 이름 뒤에 흔히 붙는 ‘의장’ 등의 단어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는 게 스타트업 업계의 한결같은 평가다. 주요 경영 판단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법적 책임을 지는 ‘대표(CEO)’라는 타이틀을 단 인물은 찾기 어렵다. 업계에선 ‘회장’이란 단어는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해서 CEO 타이틀을 갖는 것은 싫어서 생각해낸 게 ‘의장’이란 해석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CEO 위에 막후 실력자가 있는 ‘옥상옥’ 경영 구조 때문에 의사결정 과정이 늘어나고 직원들의 혼란이 커진다는 비판도 있다.
판교의 의장님들이 두문불출하는 사이 실리콘밸리의 ‘진짜 빅테크’ 창업자 겸 대표들은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머스크와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우주를 향한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저커버그는 사명까지 바꾸고 신사업을 향한 닻을 올렸다. 현상 유지만 해도 2~3대는 편하게 먹고 살 텐데 만족할 줄 모르는 기업인의 ‘야성(野性)’을 뿜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외부와의 소통에도 적극적이다. 애플의 팀 쿡, 마이크로소프트의 사티아 나델라 등 유명 CEO들은 다양한 콘퍼런스에 등장해 한두 시간 회사의 비전을 공개하고 주주들을 설득한다. 설화로 종종 곤욕을 치르는 머스크도 SNS를 통해 전 세계의 테슬라 팬들과 스스럼없이 대화한다. 머스크는 SNS에서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듣고 나면 테슬라 직원들에게 검토를 지시한다고 한다. 소통의 순기능이다.
최근 만난 한 기업인은 “한국에서 빅테크라고 불리는 기업들이 최근 수년간 ‘깜짝 놀랄 만한’ 사업이나 ‘미래 비전’을 제시한 사례를 찾기 힘들다”고 말했다. 네카라쿠배가 몸집만 커진 ‘그저 그런 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얘기다.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삼성 현대차 SK LG 같은 대기업이 혁신기업에 가까운 것 같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때 혁신의 상징이었던 판교의 의장님들은 지금 어디에서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