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매체, 요소수 대란에 "韓 자업자득, 中과 무슨 관계냐"
중국의 언론 매체들도 한국의 요소수 품귀 사태에 주목했다.

중국 매체들은 한국의 요소수 품귀 사태를 전하며 요소수 원료의 중국 의존도가 높다는 사실을 부각했다.

인터넷 매체 펑파이(澎湃)는 "한국의 자동차용 요소는 거의 전량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며칠째 이 문제에 주목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요소수 사태가 택배업과 운수업 등에 종사하는 자영업자는 물론 대형 기계를 사용하는 건설 현장과 자동차 업계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관찰자망(觀察者網)은 요소수 품귀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는 한국내 여론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신문은 문재인 대통령이 외교역량을 동원해 물량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한 발언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중국에 특사단을 파견해서라도 대책을 강구하자고 한 발언 등을 소개했다.

중국 국영 청두(成都)TV가 운영하는 인터넷 매체 선냐오즈쉰(神鳥知訊)은 9일 "(한국은) 석유화학 산업 강국으로 요소를 생산할 능력이 없는 게 아니다"며 "한국 정부는 재벌에 유리한 경제정책을 채택하면서 경제적 이익이 없는 분야에 대해서는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가 경제 및 국민 생활과 관련된 중요한 전략자원을 자급자족하거나 비축체제를 구축하지 않았다"며 "한국이 특정 분야 위기를 겪는 것은 자업자득으로, 중국과 무슨 관계냐"고 반문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촉발된 반도체 위기를 거론하며 과거 교훈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주장도 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 계열인 런민즈쉰(人民資訊)도 자사 홈페이지에 청두TV의 주장을 그대로 게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