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원하면 원전 비중 다시 검토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승일 한전 사장 간담회
현재 24기…비중 작지 않지만
정쟁 아닌 과학적 논의 필요
풍력·태양광 간헐성 극복하면
탄소중립 '게임의 승자' 될 것
전기료에 연료비 연동 첫발
국민 인식 확산시키는게 우선
현재 24기…비중 작지 않지만
정쟁 아닌 과학적 논의 필요
풍력·태양광 간헐성 극복하면
탄소중립 '게임의 승자' 될 것
전기료에 연료비 연동 첫발
국민 인식 확산시키는게 우선
정승일 한국전력 사장(사진)이 원자력 발전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국민 의견이 다수라면 원전을 배제한 탄소중립 계획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생 에너지의 불완전성을 극복하는 나라가 탄소중립 시대를 주도하는 ‘게임의 승자’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놨다.
정 사장은 지난 10일 광주 빅스포(BIXPO)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더 많은 원전이 필요하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신규 원전을 짓지 않는) 정부의 탄소중립 계획은 다시 생각해 볼 문제”라고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공직 생활을 한 정 사장은 2018년 한국가스공사 사장을 지낸 뒤 지난 5월 국내 최대 에너지 공기업인 한전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현재 24기의 원전이 가동 중이고, 2030년에도 24% 발전량을 담당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원전 비중이 작다고 할 수 없다”며 “앞으로 원전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정쟁이 아니라 과학적이고 이성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다만 “원전이 탄소중립 실현에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어두운 이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사용후핵연료 등 폐기물 처리, 신규 원전 입지 선정, 송·변전 시설 건설 등의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정 사장은 에너지 관련 논의가 지나치게 양극화되고 있는 데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에너지원은 다양해야 한다”며 “지역과 국가 특성에 맞게 선택하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정 전원에 대해 지나치게 비판 또는 우호적인 논의가 형성되는 점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기후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한 신재생 에너지의 문제는 극복해야 할 과제이며 미래 에너지 기술 개발에 한전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는 “신재생 에너지는 간헐성과 전력 공급 불안정 등의 문제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는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라고 했다. 이어 “신재생 에너지의 문제점을 가장 먼저 해결하는 국가나 기업이 미래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하게 될 것”이라며 “한전이 다양한 기술 과제를 선별하고 실증해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수소·암모니아 등 신에너지원 확대가 공급망 이슈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지적에는 “전 세계의 많은 국가가 수소 수출국이 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며 “호주, 남미, 중동 등이 한국과 수소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고, 이들 국가와 함께 풀어가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전은 이날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발표하고 현재 4500억원 수준인 연구개발(R&D) 비용을 2030년 1조원까지 늘리고, 같은 기간 R&D 인력도 500명에서 900명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 사장은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인상 요인이 있다면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했다. 또 “올해가 연료비 연동제 시행 첫해여서 모든 것에 만족할 수 없지만 시작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전기요금에 연료비가 연동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국민적 인식을 확산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단계적으로 원가와 적정 보수를 감안해 전기요금이 책정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투자자들에게 예측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작년부터 올해까지 석탄 가격이 300% 오르는 등 원가를 예측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며 “다양한 예측 기법을 통해 가능한 한 정확한 재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
정 사장은 지난 10일 광주 빅스포(BIXPO)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더 많은 원전이 필요하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신규 원전을 짓지 않는) 정부의 탄소중립 계획은 다시 생각해 볼 문제”라고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공직 생활을 한 정 사장은 2018년 한국가스공사 사장을 지낸 뒤 지난 5월 국내 최대 에너지 공기업인 한전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현재 24기의 원전이 가동 중이고, 2030년에도 24% 발전량을 담당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원전 비중이 작다고 할 수 없다”며 “앞으로 원전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정쟁이 아니라 과학적이고 이성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다만 “원전이 탄소중립 실현에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어두운 이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사용후핵연료 등 폐기물 처리, 신규 원전 입지 선정, 송·변전 시설 건설 등의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정 사장은 에너지 관련 논의가 지나치게 양극화되고 있는 데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에너지원은 다양해야 한다”며 “지역과 국가 특성에 맞게 선택하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정 전원에 대해 지나치게 비판 또는 우호적인 논의가 형성되는 점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기후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한 신재생 에너지의 문제는 극복해야 할 과제이며 미래 에너지 기술 개발에 한전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는 “신재생 에너지는 간헐성과 전력 공급 불안정 등의 문제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는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라고 했다. 이어 “신재생 에너지의 문제점을 가장 먼저 해결하는 국가나 기업이 미래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하게 될 것”이라며 “한전이 다양한 기술 과제를 선별하고 실증해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수소·암모니아 등 신에너지원 확대가 공급망 이슈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지적에는 “전 세계의 많은 국가가 수소 수출국이 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며 “호주, 남미, 중동 등이 한국과 수소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고, 이들 국가와 함께 풀어가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전은 이날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발표하고 현재 4500억원 수준인 연구개발(R&D) 비용을 2030년 1조원까지 늘리고, 같은 기간 R&D 인력도 500명에서 900명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 사장은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인상 요인이 있다면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했다. 또 “올해가 연료비 연동제 시행 첫해여서 모든 것에 만족할 수 없지만 시작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전기요금에 연료비가 연동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국민적 인식을 확산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단계적으로 원가와 적정 보수를 감안해 전기요금이 책정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투자자들에게 예측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작년부터 올해까지 석탄 가격이 300% 오르는 등 원가를 예측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며 “다양한 예측 기법을 통해 가능한 한 정확한 재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