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수입물가가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을 키울 전망이다. 기업들이 상승한 수입 원자재 매입 비용을 제품 가격에 전가하기 때문이다. 커지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한국 경제를 보는 시각도 한층 어두워지고 있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이달 25일 발표하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종전 전망치(2.1%)보다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전날 ‘하반기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3%로 종전(1.7%)보다 0.6%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2012년 이후 9년 만에 물가가 한은의 안정 목표치(2%)를 웃돌 것이 유력해졌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10월보다 3.2% 상승하면서 2012년 1월(3.3%) 이후 9년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오름세를 보였다. 이 같은 물가 고공행진 흐름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11일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국제 유가 상승세 등을 거론하며 “예상보다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도 이날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1월호)’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며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확대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물가가 치솟는 것은 코로나19로 억눌린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씀씀이가 불어난 결과다. 요소수 대란처럼 공급망 문제가 불거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 총재도 최근 원자재 공급 차질에 대해 “과거에는 본 적 없는 공급병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선진국의 빠른 백신 보급과 전례 없는 정책 지원으로 재화를 중심으로 수요가 강하게 회복되는 가운데 일부의 생산·물류 차질이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확산됐다”며 “수요 측 요인뿐만 아니라 공급 요인도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에 대응해 쏟아져 나온 각국의 완화적 통화정책과 불어난 재정지원도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1.00%로 0.25%포인트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한층 힘을 얻고 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