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러시아 등이 전기차 업체들의 새로운 전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각국 정부가 친환경차 시장 확대를 위해 보조금을 늘리고 있어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1% 미만인 전기 승용차 점유율을 2030년까지 30%로 늘릴 계획이다. 상용차는 70%, 이륜·삼륜차는 80%까지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5개 주 정부가 순차적으로 전기차 보조금 지급 등 정책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현재 2000개 수준인 전기차 충전소도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는 글로벌 자동차 5위 시장(247만 대 판매)이지만 100명당 자동차 보급률이 5대에 불과해 성장 여지가 크다.

완성차 업체들도 이에 발맞춰 전기차 출시를 준비 중이다. 점유율 2위인 현대자동차·기아는 아이오닉 5, EV6(사진) 등 출시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위인 타타자동차는 전기차에 소극적이던 기존 전략에서 선회해 5년간 20억달러(약 2조38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지난달 밝혔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충전 인프라를 개발하고 2025년까지 전기차 10개 모델을 출시하기로 했다. 테슬라도 수입 전기차 관세 인하를 위해 정부에 로비를 하는 등 인도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다. 자국 제조업 육성을 위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던 인도 정부는 수입 전기차에 부과하던 60~100%의 관세 인하를 검토 중이다.
동남아시아 국가도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로드맵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150대에 불과한 전기 승용차를 2025년까지 40만 대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전기차 제조 업체의 법인세를 50~100% 감면해주는 등 혜택도 마련했다.

전기차 점유율이 1% 미만인 태국은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30%로, 말레이시아는 2030년까지 개인 차량의 100%, 대중교통의 40%를 전기·액화석유가스(LPG) 등을 연료로 하는 차량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러시아는 2030년까지 전기차 생산 비중을 1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아직 소득 수준이 낮은 신흥시장에서 전기차 판매량이 늘어나려면 각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금보다 더 확대해야 한다. 충전 인프라를 단기간 내 확충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중남미 국가들이 전기차 대신 바이오 연료 등으로 내연기관차를 대체하려는 이유다. 또 소형차, 이륜차 이용 비중이 높은 현지 상황에 맞춰 완성차 업체들이 ‘보급형 전기차’를 내놓아야 하는 과제도 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