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올레길과 둘레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길을 만드는 것은 발이다. 발자국 하나하나가 모여 새로운 길을 연다. 길의 옛말 ‘긿’도 걸음에서 유래했으니, 모든 길은 발길의 준말이다. 옛날부터 동굴에서 물을 마시러 다니고, 사냥감과 목초지를 찾아 나섰던 길이 다 그렇다. 길 위에서 우리는 과거와 미래를 본다.
제주에 올레길이 생긴 건 2007년이다. ‘올레’는 ‘집에서 거리까지 나가는 작은 길’(제주어)이다. 이 길은 번듯한 포장대로가 아니라 아기자기한 소로로 제주 해안을 잇는다. 느리고 여유롭게 ‘놀멍 쉬멍’(‘놀면서 쉬면서’의 제주어) 걷는 26개 코스가 425.3㎞나 조성돼 있다.
올레에서 시작된 걷기 바람은 전국으로 확산됐다. 명산 주변을 도는 지리산둘레길과 치악산둘레길, 소백산자락길 등이 잇따라 등장했다. 해안을 따라 걷는 부산갈맷길과 포항 호미반도둘레길, 섬을 한 바퀴 도는 남해바래길도 인기다. 지역별로 인천둘레길, 강릉바우길 등 특색있는 걷기 코스가 많다.
더 크게는 국토 전체를 ‘U’자로 도는 코리아 둘레길이 생겼다. 부산에서 강원 고성까지 걷는 동해안의 ‘해파랑길’은 2016년에 열렸다. 오륙도 해맞이공원과 고성 통일전망대를 잇는 750㎞의 장거리 도보길이다.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보며 파도소리 벗삼아 걷는 이 길은 50개 코스로 이뤄져 있다.
지난해에는 부산 해맞이공원에서 전남 해남 땅끝마을까지 가는 남해안의 ‘남파랑길’이 완성됐다. 남녘의 쪽빛 바다와 함께 걷는 90개 코스, 1470㎞의 긴 여로다. 이 가운데 11개 코스는 남해바래길과 동행한다. 바래길 231㎞는 가천다랭이마을, 금산 보리암, 물미해안 등 관광 명소를 품고 있다.
내년 3월에 해남~강화의 ‘서해랑길’이 열리고, 12월 강화~강원 고성의 ‘DMZ 평화의 길’이 이어지면 코리아 둘레길의 총연장은 4500㎞로 늘어난다. 서울~부산 거리의 10배,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의 5.7배다. 어제는 경기도 외곽 2000리(860㎞)를 연결한 경기 둘레길까지 개통됐다. 그야말로 ‘걷는 대한민국’ 시대가 열렸다.
이 길을 걸으며 누군가는 코로나 사태의 아픔을 치유하고, 누군가는 재기의 꿈을 꿀 것이다. 길은 길에 맞닿아 있고, 언젠가는 귀로로 이어질 것이므로 그 여정에 희망의 씨앗을 채워 오는 것도 잊지 말 일이다. 내가 지나온 발자국이 뒷사람에게 길이 되는 이치 또한 이와 닮았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제주에 올레길이 생긴 건 2007년이다. ‘올레’는 ‘집에서 거리까지 나가는 작은 길’(제주어)이다. 이 길은 번듯한 포장대로가 아니라 아기자기한 소로로 제주 해안을 잇는다. 느리고 여유롭게 ‘놀멍 쉬멍’(‘놀면서 쉬면서’의 제주어) 걷는 26개 코스가 425.3㎞나 조성돼 있다.
올레에서 시작된 걷기 바람은 전국으로 확산됐다. 명산 주변을 도는 지리산둘레길과 치악산둘레길, 소백산자락길 등이 잇따라 등장했다. 해안을 따라 걷는 부산갈맷길과 포항 호미반도둘레길, 섬을 한 바퀴 도는 남해바래길도 인기다. 지역별로 인천둘레길, 강릉바우길 등 특색있는 걷기 코스가 많다.
더 크게는 국토 전체를 ‘U’자로 도는 코리아 둘레길이 생겼다. 부산에서 강원 고성까지 걷는 동해안의 ‘해파랑길’은 2016년에 열렸다. 오륙도 해맞이공원과 고성 통일전망대를 잇는 750㎞의 장거리 도보길이다.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보며 파도소리 벗삼아 걷는 이 길은 50개 코스로 이뤄져 있다.
지난해에는 부산 해맞이공원에서 전남 해남 땅끝마을까지 가는 남해안의 ‘남파랑길’이 완성됐다. 남녘의 쪽빛 바다와 함께 걷는 90개 코스, 1470㎞의 긴 여로다. 이 가운데 11개 코스는 남해바래길과 동행한다. 바래길 231㎞는 가천다랭이마을, 금산 보리암, 물미해안 등 관광 명소를 품고 있다.
내년 3월에 해남~강화의 ‘서해랑길’이 열리고, 12월 강화~강원 고성의 ‘DMZ 평화의 길’이 이어지면 코리아 둘레길의 총연장은 4500㎞로 늘어난다. 서울~부산 거리의 10배,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의 5.7배다. 어제는 경기도 외곽 2000리(860㎞)를 연결한 경기 둘레길까지 개통됐다. 그야말로 ‘걷는 대한민국’ 시대가 열렸다.
이 길을 걸으며 누군가는 코로나 사태의 아픔을 치유하고, 누군가는 재기의 꿈을 꿀 것이다. 길은 길에 맞닿아 있고, 언젠가는 귀로로 이어질 것이므로 그 여정에 희망의 씨앗을 채워 오는 것도 잊지 말 일이다. 내가 지나온 발자국이 뒷사람에게 길이 되는 이치 또한 이와 닮았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