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사모펀드(PEF) 간에 투자 이익을 공유하는 계약이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공개됐다면 어떻게 됐을까. IPO 전문가들 사이에선 “한국거래소가 PEF 보유 지분에 대해 자발적 보호예수를 요구했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결과적으로 하이브 상장 직후 PEF들이 지분을 매각해 방 의장과 이익을 나누기 쉽지 않았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2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이브는 2020년 5월 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해 두 달여 만에 순조롭게 승인을 받았다. 심사 과정에서 별다른 문제의 소지가 나오지 않았다는 의미다. 한 증권사 IPO 담당자는 “거래소 상장 심사 과정에서 주주 간 계약이 보고됐다면 심사가 더 길어졌을지 모른다”고 말했다.거래소는 심사 과정에서 회사와 주관사에 주주 간 계약을 제출하도록 한다. 문제가 되는 계약 조항은 해지 또는 수정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보완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한다. 이번 방 의장과 PEF 간의 이익 공유 계약도 내용이 이례적이어서 거래소가 쉽게 지나치지 않았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거래소 전직 심사 관계자는 “거래소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조항에 대해 심사 기간을 늘리더라도 수정 조치를 하도록 계속 요구한다”고 말했다.또 다른 관계자는 “최소한 PEF 보유 지분에 대한 자발적 보호예수를 요구하고 해당 계약 내용을 증권신고서 등에 공시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이뤄졌을 것”이라고 했다. 금융감독원 역시 이 계약을 파악했다면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하는 등 적극적인 보완을 요구했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하이브 관계자는 “해당 계약은 합법적이고 사적인 계약이므로 거래소가 함부로 이를 해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몇몇 사모펀드(PEF)가 하이브 상장 이후 막대한 이익을 공유하는 ‘언아웃’ 계약을 체결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 언아웃은 기업을 사고팔 때 인수자 측이 기업 경영권을 싼값에 사는 대신 향후 일정 성과를 달성해 기업 가치가 뛰면 매각자 측에 추가로 웃돈을 지급하는 조항이다. 2021년 크래프톤이 미국 게임사 언노운월즈를 5억달러에 인수한 이후 추가 경영 성과에 따라 최대 2억5000만달러를 더 지급하기로 한 계약이 대표적이다.국내에선 기업공개(IPO)를 약속받고 장외기업 주식을 산 투자자들이 상장 후 대주주나 경영진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용도로도 활용된다. 하지만 방 의장과 PEF 간 계약은 일반적인 언아웃 계약에서 보기 힘든 이례적인 조항들을 담고 있다는 게 투자은행(IB)업계 전문가들의 설명이다.29일 IB업계에 따르면 하이브(당시 빅히트)에 투자한 PEF들은 투자 이익의 30%가량을 방 의장에게 지급하는 내용의 언아웃 조항을 계약에 넣었다. 대신 방 의장이 기한 내 회사를 상장시키기로 했다. 만약 실패하면 방 의장이 이들 PEF의 지분을 이자를 붙여 되사주기로 했다. 하이브 측은 “방 의장이 투자 안전장치를 제공한 만큼 그 대가로 추가 이익의 일정 부분을 받기로 한 상호 동등한 계약”이라고 설명했다.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이 계약이 규모와 대상, 배분 방식 등 여러 측면에서 보편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PEF들이 방 의장이 아니라 기존 초기 투자자들에게서 지분을 사들였음에도 방 의장이 모든 혜택을 받는 구조다. 30% 안팎에 달하는 배분 비율도 업계 관행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무엇보다
“부동산 투자는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투자형 연금 시대를 열어야 합니다.”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29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한국 가계 자산의 약 80%가 부동산에 집중돼 있다”며 “인구가 줄고 내수가 축소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조는 지속되기 어렵다”고 말했다.박 회장은 평소 퇴직연금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금융인이다. 미래에셋증권은 2005년 퇴직연금본부를 구성해 국내 증권사 중 퇴직연금 시장에 가장 먼저 진입했고 현재 증권사 가운데 적립금이 가장 많다. 박 회장은 “퇴직연금에서 원리금 보장형으로 묶여 있는 자금 가운데 일부라도 성장성이 높은 주식에 투자했다면 수익률이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라며 “젊은 세대일수록 연금을 투자형으로 과감하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그는 “퇴직연금을 확정급여(DB)형 위주에서 선진국처럼 확정기여(DC)형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DB형은 임금 상승분만큼 연금 자산이 불어나지만, DC형은 개인의 운용 성과에 따라 연금 규모가 결정된다. 국내 퇴직연금에서 DB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53.7%로 DC형(26.5%)의 두 배 수준이다.나수지/최만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