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산 감자가 아프리카 시험 재배에 성공, 나미비아에 보급될 전망이다.3일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도내 농업회사법인이 나미비아 측과 제주산 감자 품종 통상실시권 계약 등을 거쳐 제주산 신품종 씨감자 공급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앞서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도내 농업회사법인과 협력해 제주도 육성 신품종 감자 '탐나' 등 4개 품종을 지난해 봄과 가을 두 차례 나미비아 현지에서 시험 재배했다.봄에 진행된 1차 시험 재배에서는 검역과 감자 배송 지연 등으로 파종이 늦춰지고 수확기 서리 피해를 봤지만, 9월~12월에 진행된 2차 시험 재배에서는 병해 발생 없이 재배에 성공했다.2차 재배 수확량은 10 α 당 1577∼2496㎏으로, 1차 재배 10 α 당 852㎏에 비해 85.1∼193% 증가했다. 이는 나미비아 연간 평균 생산량(2019∼2023년) 10 α 당 1206㎏보다 최소 31% 많거나 최대 두배 이상이다.제주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나미비아 현지에서는 제주산 감자가 맛이 좋고 수량이 많은데다 연 2회까지 재배할 수 있어 식량 자급률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이들 국가가 맞대응에 나서면서 글로벌 관세전쟁이 발발한 가운데 인도 정부가 “보호주의를 피하겠다”며 관세를 인하했다.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인도 재무부는 현재 13%인 평균 관세율을 11%로 낮추겠다고 최근 발표했다. 특히 1600㏄ 이상의 엔진을 장착한 대형 오토바이 수입 관세를 50%에서 30%로 낮췄다. 미국의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가 관세 인하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는 섬유와 자동차 부품 등의 관세도 인하한다고 밝혔다.투힌 칸타 판데이 인도 재무부 차관은 “우리는 보호를 강화하는 것이 아니다”며 “보호주의를 추구한다는 신호를 누구에게도 보내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기업을 돕기 위해 관세를 물리고 있지만, (이런 관세도) 산업이 발전하면 단계적으로 폐지할 것”이라고 했다.인도가 선제적 관세 인하에 나선 것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을 피하기 위한 전략이란 분석이 나온다. 미국은 인도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과 인도의 교역 규모는 1918억달러다. 인도는 미국을 상대로 457억달러의 적자를 냈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인도를 두고 “무역에서 매우 큰 악당”이라며 “관세를 통해 불균형을 바로잡겠다”고 공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통화에서 “인도가 미국산 보안 장비 조달을 늘리고 공정한 양자 무역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압박하기도 했다.일각에서는 인도의 이번 관세 인하 조치가 충분하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 싱크탱크인 &ls
아카데미 시상식 최초로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스페인 출신 트랜스젠더 배우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53)의 혐오 발언이 뒤늦게 전해졌다. 해당 발언은 인종, 종교 그리고 다른 동료 배우들을 저격한 내용으로, 국내 배우 윤여정이 포함된 바 있다.2일(현지시간) 미 CNN에 따르면 가스콘은 CNN과 인터뷰에서 과거 그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이 소환돼 인종차별적이라는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불쾌감을 느꼈을 모든 사람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이어 그는 "나는 어떤 범죄를 저지르지도 않았고 누구에게 해를 끼치지도 않았기 때문에 오스카상 후보에서 물러날 수 없다. 나는 인종주의자도 아니고, 다른 사람들이 나를 그렇게 믿게 하려고 한 적도 없다"고 해명했다.가스콘을 둘러싼 논란은 최근 프리랜서 저널리스트인 세라 하지가 과거 가스콘이 트위터(현재 X·엑스)에 올린 게시물들을 캡처해 엑스에 공유해 확산했다.가스콘은 특히 2021년 아카데미 시싱삭에서 한국인 최초로 배우 윤여정이 영화 '미나리'로 여우주연상을 받은 것을 두고 "점점 오스카(아카데미상)가 아프로-코리안(Afro-Korean) 축제를 보는 것 같다"고 조롱한 바 있다.여기에 아프리카계 미국인 트라본 프리 감독이 '투 디스턴트 스트레인저스'로 단편영화상을 받자 "'블랙 라이브스 매터'(Black Lives Matter·BLM)을 보는 건지, 알 수 없었다"며 흑인 인권 운동과 그를 비하하기에 이르렀다.뿐만 아니라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사망하며 미국 전역에 인권 시위를 불러일으킨 조지 플로이드에 대해서는 "마약 중독자이자 사기꾼"이라고 힐난한 바 있다.특히 그는 이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