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집권기 분량 절반 이상 차지…1인 체제 공고화
중국 '3차 역사결의' 전문 공개…3만6천자 분량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초장기 집권의 길을 여는 의미로 평가된 중국 공산당 제3차 역사결의(당의 100년 분투의 중대 성취와 역사 경험에 관한 중공 중앙의 결의) 전문이 16일 공개됐다.

관영 신화 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은 지난 11일 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19기 6중 전회)에서 채택된 3만6천여자 분량의 역대 세 번째 역사결의 전문을 공개했다.

중국 공산당은 역사결의 채택 당일 역사결의 요지를 담은 '공보'를 공개했다.

이번 결의는 1945년 1차와 1981년 2차에 이어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채택된 역사결의다.

1, 2차 역사결의가 각각 2만7천여자, 3만4천여자인 것과 비교하면 3차 역사결의가 분량이 가장 분량 많다.

3차 역사결의는 서문, 신민주주의혁명의 위대한 승리, 사회주의 혁명의 완성과 사회주의 건설 추진, 개혁·개방 진행과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 중국 특색 사회주의 신시대 창립, 중국공산당 100년 분투의 역사결의, 중국공산당 100년 분투의 역사경험, 신시대 중국공산당 등 총 8개 주제로 구성됐다.

특히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집권 1기부터 현재까지 통치 여정을 담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신시대 창립' 부분은 전체 분량의 절반이 넘는 1만9천200여자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역사결의가 내년 가을 제20차 당 대회에서 3연임할(재임기간 총 15년으로 연장) 예정인 시 주석의 장기집권의 길을 열기 위한 것임을 반영한다.

서문에는 중국공산당 100년사를 총괄하고 그간의 성과, 시 주석을 핵심으로 한 당 중앙 수호 등 역사결의 작성의 취지를 설명해놨다.

시 주석의 집권기 이전의 역사 여정을 설명한 1∼3 챕터는 신중국 건국 과정과 앞선 당 지도자들의 성과를 기술해놨다.

중국공산당은 이 부분에서 한국 전쟁을 '항미원조'(抗美援朝·미국에 맞서 북한을 도움) 전쟁으로 기술하고, 위대한 승리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또 문화대혁명(1966∼1976)과 대약진 운동에 대해서도 2차 역사결의와 마찬가지로 '재난'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마오쩌둥(毛澤東·1893∼1976) 전 국가 주석의 과오로 평가했다.

마오쩌둥 전 주석의 시기를 한 챕터로 따로 분류한 것과 달리 덩샤오핑(鄧小平·1904∼1997), 장쩌민(江澤民), 후진타오(胡錦濤) 집권기는 세 시기를 하나로 묶어 한 챕터에 담았다.

역사결의는 이 시기를 개혁·개방 진행과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기로 규정했으며, 특별한 과오를 적시하지 않았다.

이번 역사결의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시진핑 집권기는 집권 1기인 18기부터 성과를 나열하며 시진핑 사상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또 당 지도, 반부패, 경제 발전, 개혁 개방 심화, 의법치국, 문화 발전, 사회 건설, 생태 문명 건설, 국방, 안보, 일국양제 및 조국 통일, 외교 등 13개 소주제로 나눠 분야별 성과를 자세히 기록했다.

이번 역사결의의 요지는 6중 전회 공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 주석의 '당 핵심' 지위를 강조하는 데 있다.

아울러 역사결의는 당의 주된 임무가 시 주석을 중심으로 두 번째 100주년(중화인민공화국 성립 100년이 되는 2049년)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달성하는 웅대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공산당은 마오쩌둥 집권기인 1945년 4월 20일 1차 역사결의(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를 채택했으며, 덩샤오핑 집권기인 1981년 6월 27일 2차 역사결의(건국 이래 당의 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를 채택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