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제약·바이오 기업 인수합병(M&A) 움직임이 활발하다. 2022년부터 이어져 온 역대급 투자 빙하기에 따른 바이오 기업 가치 하락, 1세대 창업자 은퇴 시기 등이 맞물려 지금이 제약·바이오 기업을 인수할 최적기라는 분석이 나온다.10일 자본시장과 제약·바이오업계 등에 따르면 포스코, 두산, 하림, 동국제강, 동원그룹, 카카오 등이 바이오 사업 진출을 위해 전략적 투자, M&A, 합작법인(JV) 등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포스코기술투자를 통해 국내 바이오 기업을 상대로 기업설명회(IR)를 하고, 투자처를 물색 중이다.2022년 부광약품을 인수한 OCI는 지난해 한미약품 인수에 나섰다가 실패했지만 M&A 및 투자 대상을 꾸준히 물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경제계에서 바이오 M&A 관심이 높아진 것은 제과업체 오리온의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인수 성공 사례가 나오면서다. 오리온은 작년 초 국내 항체약물접합체(ADC) 선두 기업 리가켐바이오를 5500억원에 사들였다. 리가켐바이오는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연구개발(R&D)에 속도를 냈고 일본 오노약품공업에 신약 기술수출을 하는 등의 성과를 올렸다. 그 결과 올초 1조5000원에 불과하던 리가켐바이오 시가총액은 이날 기준 4조4408억원으로 세 배 가까이 불어났다.국내 제약·바이오 M&A 거래 규모는 빠르게 커지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제약·바이오 M&A 거래 규모는 18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5% 늘었다. 거래 건수로는 203건으로 같은 기간 9% 증가했다. 지난해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졌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업계 안팎에서는 올해 M&a
지난해 ‘1호’ 국산 블록버스터(연매출 1조원 이상) 의약품이 탄생한 데 이어 올해도 제2, 제3의 국산 블록버스터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셀트리온 ‘짐펜트라’, 유한양행 ‘렉라자’ 등이 유력 후보다. 대웅제약, HK이노엔, SK바이오팜 등도 5년 안에 블록버스터를 배출할 기업으로 꼽힌다.10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짐펜트라는 출시 2년 차인 올해 연매출 1조원을 넘기는 것이 목표다. 짐펜트라는 1호 블록버스터인 램시마를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바꾼 의약품이다. 기존 램시마는 정맥주사(IV) 제형인데 환자가 매번 병원에 가 3~4시간 맞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투약 편의성을 높인 짐펜트라가 지난해 초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출시된 만큼 셀트리온은 기존 램시마 수요가 짐펜트라로 유입되는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말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기업설명회에서 “미국 의료 체계가 워낙 복잡해 짐펜트라 처방 확대가 지연됐지만 내부적으로 매출 1조원을 독려하는 중”이라고 말했다.유한양행의 폐암 치료제 렉라자도 유력한 블록버스터 후보로 꼽힌다. 지난달 30일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시판 허가를 받으면서다. 렉라자는 존슨앤드존슨(J&J)의 항체 신약 리브리반트와 병용 요법으로 허가받아 두 약물 조합 판매가 본격화하면 조 단위 매출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2027년까지 매출 1조원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지만 유럽 등에서 시장 침투가 빨라지면 2026년으로 목표 달성이 당겨질 수 있다고 증권업계는 보고 있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도 블록버스터 후보군이다. 2020년 5월 미국에서 출시된 뒤 지난해 미국에서만 매출 2708억
양자(퀀텀)는 불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초미세 물리량을 말한다. 빛(광자)과 전자 등이 대표적인 양자다. 고전역학에선 운동량(질량×속도)을 알면 물체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양자역학은 다르다. 운동량을 알아도 위치를 알 수 없다. 확률적으로만 추정할 뿐이다. 전자는 실제로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는 상태로 존재한다.이런 양자의 상태를 수학적 행렬로 처음 표현한 학자가 독일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다. 에르빈 슈뢰딩거는 양자 상태를 파동함수로 표현했다. 100년 전인 1925년 전후 일어난 이들의 업적을 기려 유엔이 올해를 ‘양자 과학과 기술의 해’로 지정했다. 막스 보른은 미분방정식으로 구성된 슈뢰딩거의 파동함수를 전자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확률밀도함수’로 발전시켰다. 바꿔 말해 이 함수를 적분하면 전자를 발견할 확률이 나온다는 뜻이다.이런 양자역학을 컴퓨터로 구현한 게 양자컴퓨터다. 0일 수도, 1일 수도 있는 큐비트의 상태를 ‘중첩’이라고 한다. 0과 1이 각각 변할 확률이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 ‘얽힘’이다. 중첩과 얽힘이 매끄럽게 일어나는 것을 ‘결맞음’이라고 한다. 중첩과 얽힘, 결맞음이 모두 실현돼야 유효 큐비트가 작동했다고 본다.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존 프랜시스 클라우저가 양자 얽힘을 인류 역사상 처음 실험실에서 입증했다.연산량 증가에 따라 비트의 숫자는 2의 n제곱 형태로 폭증하지만 큐비트는 그렇지 않다. 양자컴이 슈퍼컴퓨터보다 훨씬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이유다. 구글은 2019년 시커모어에 이어 2024년 말 윌로를 내놓으면서 모두 슈퍼컴을 압도하는 성능을 강조했다.정윤채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