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원광대 한문번역연구소, 일기·시·기행문 등 다른 형식
조선후기 익산 실정 어땠을까?…'금마일기' 등 고문헌 번역 발간
전북 익산시는 원광대학교 한문 번역연구소와 함께 조선후기 익산기록을 담은 '금마일기', '유금마성기', '금마별가'를 번역,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문헌들은 일기·기행문·시 등 다양한 장르로, 당시 익산의 모습을 각기 다른 관점에서 전하고 있다.

금마일기(金馬日記)는 조선후기 익산 군수를 지낸 정규혁이 1896년 3월 부임 후 겪었던 다양한 업무처리와 일상사를 기록한 14개월간의 일기다.

수령으로서 해결해야 할 세금 징수, 아전 관리, 각종 의견 수렴 등을 위해 동분서주하던 모습이 그려져 있다.

또 수령을 도와서 군정을 처리하던 면임과 존동, 통수, 검독, 주비, 풍헌 등의 직책은 당시 행정의 단면을 보여준다.

유금마성기(遊金馬城記)는 조선 선비 강후진이 1738년 익산 금마의 고적을 답사하고 남긴 기록이다.

그는 고조선과 기자조선, 마한과 고려의 옛 도성에 관한 문헌자료를 정리하고 실제 답사한 기행문 '와유록'을 저술하였는데, 유금마성기는 그중 일부다.

이 책에서 강후진은 익산 금마를 마한의 시조 무강왕 기준이 세운 마한의 중심 도읍지로 인식하고 왕궁리유적, 미륵사지, 쌍릉 등을 답사했다.

금마별가(金馬別歌)는 조선후기 최고 시인 석북 신광수의 시집이다.

익산 군수 남태보를 떠나보내며 애달파하는 군민들의 마음을 대신하여 읊은 시 32수가 실려 있다.

이 시는 단순히 군수의 칭송만이 아니라 당시의 현실비판과 애민 의식, 우국충정 등의 정서를 잘 담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고 시는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