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규제가 지속되면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와 총량규제 등에서 자유로운 대부업 이용이 증가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신용점수가 좋은 1·2금융권 대출 수요자가 대부업으로 몰리면서 정작 저신용자가 대부 시장에서 밀려나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A 대형 대부업체의 지난달 신규 대출 취급액은 지난 6월 대비 36% 증가했다. 액수로 따지면 4개월 새 46억원이 늘었다. 앞서 금융감독원이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상위 20개 대부업체의 신규 대출 취급액은 1조463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대출액(2조1426억원)의 68%를 6개월 만에 달성한 것이다.

개인의 모든 금융사 대출 원리금 연간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인 DSR을 계산할 때 대부업 대출분은 제외된다. 또 대부업계는 카드사 6%, 저축은행 21.1% 등 2금융권에 적용되는 총량증가율 규제도 없다. 반면 대출 수요는 여전해 차주들이 고금리를 감수하고라도 대부업 문을 두드리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대부업계 유일한 상장사인 리드코프는 올 3분기 금융업 영업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547억원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7월 법정 최고금리가 연 24%에서 연 20%로 인하된 이후 대부업계가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면서도 “최근 2금융권에서 돈을 빌리지 못한 사람들을 ‘이삭줍기’ 하면서 다소 숨통이 트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 일각에선 원래 대부업 주이용자 층인 저신용자들의 자금 조달이 더 어려워지게 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우수 대부업체에 한해 은행으로부터 자금조달을 받을 수 있는 길은 열렸지만 대부업 시장 자체가 매우 작아 상대적으로 우량한 고객에게 대출 공급이 한정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잇단 최고금리 인하 속에 대부업계도 신용대출 대신 담보대출 비중을 늘리고 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