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형 아파트 매매평균가격이 이번 정부 출범 이후 10억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월 서울 대형 아파트(전용면적 135㎡ 초과) 매매평균가격은 24억7301만원으로 조사됐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14억7153만원이었던 것과 비교해 4년6개월 만에 10억원가량 치솟았다.

정부는 초고가 주택 가격을 잡기 위해 2019년 12월 15억원 넘는 주택에 대해 주택담보대출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 하지만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 증가와 아파트 공급 부족 등으로 서울 대형 아파트의 희소성과 투자 가치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대형 아파트 가격 상승세는 실거래가로도 확인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대치 아이파크’ 전용 149㎡는 2017년 5월 12일 18억9000만원(14층)에 실거래가 이뤄졌다. 올해 10월 7일엔 46억원(25층)에 거래됐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7억1000만원 오르며 143% 상승률을 기록했다.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전용 158㎡도 2017년 5월 8일 11억9000만원(5층)에 매매된 것이 지난 10월 8일에는 16억5000만원 오른 28억4000만원(4층)에 손바뀜했다. 이 기간 상승률이 138%에 달했다. 동작구 신대방동 ‘우성1’ 전용 157㎡도 2017년 5월 20일 7억7500만원(15층)에서 올해 10월 11일 18억2000만원(7층)으로 실거래가가 10억4500만원 올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대형 아파트는 가격이 높아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지만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커지면서 매수세가 몰렸다”며 “중소형 아파트에 비해 수요층이 두텁지 못하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