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글로벌채권펀드 총 129개의 올 들어 지난 23일까지 평균 수익률은 -0.07%다. 최근 금리 상승세가 채권펀드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로 움직인다.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의 연임 결정 소식도 채권 시장을 뒤흔들었다.
이 기간 글로벌하이일드채권펀드 37개의 평균 수익률은 2.43%로 상대적으로 낫다. 베어링글로벌하이일드펀드는 14%대의 수익률을 보여 전체 글로벌 채권형 펀드 중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하이일드채권은 '하이 리스크·하이 리턴' 채권이다. 투자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만기(듀레이션) 짧고 이자율 높은 게 특징이다.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는 내년 투자 전략 리포트에서 “금리 상승 국면에서 듀레이션이 짧아 가격 하락 방어가 가능한 하이일드 매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기 회복기에는 발행사의 부도 가능성이 줄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 가능하다. 카란 탈워 베어링그룹 하이일드 투자부문 클라이언트 포트폴리오 매니저(CPM)는 "하이일드채권의 수익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기업 부도율인데 코로나19 팬데믹 초반 급등했다가 최근 상당히 내려갔다"며 "최근 12개월간 미국 하이일드채권 부도율은 0.6%, 유럽은 0.4%인데 과거 평균적으로 미국 3%, 유럽 2%의 부도율을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포스트 코로나 국면에서 기업 신용등급이 상향되면 추가 수익도 기대 가능하다. 탈워 매니저는 “작년 투자 등급에서 투기 등급으로 하락한 '추락 천사' 채권 규모가 약 2400억달러였다”며 “향후 경기 회복 국면에서 투자 등급으로 회복되는 ‘라이징스타’가 늘어나면 하이일드채권 시장에 순풍이 불 것”이라고 설명했다. 캐나다 에너지 기업 세노버스 에너지 등은 작년 투기 등급으로 강등했다가 올해 투자 등급으로 상향됐다. 라이징스타 후보군으로 주목받던 넷플릭스의 경우 지속적으로 투기 등급에 머물러있다가 올해 투자 등급으로 상향됐다(스탠다드앤푸어스 기준).
다만 내년 최대 변수는 인플레이션과 코로나19 진행 상황이다. 탈워 매니저는 "인플레이션이 마진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마다 다르다"며 "가격 결정력, 펀더멘털 등을 고려한 운용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