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 아이 낳는 사람은 머리 나빠서…" 작심 비판한 교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적인 사회생물학자인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가 "대한민국 사회에서 지금 애를 낳는 사람은 바보"라고 밝혔다.
지난 23일 최 교수는 유튜브채널 '최재천의 아마존'에 "대한민국에서 아이를 낳는 사람은 이상한 겁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서 그는 "요즘 사람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최 교수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아이를 낳는 사람은 바보다. 머리가 나쁘면, 또 아이큐가 두 자리가 안 돼서 아이를 낳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지금 대한민국의 저출산 현상은 진화생물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아주 지극히 당연한 진화적 적응 현상"이라며 "주변에 먹을 것이 없고 숨을 곳이 없는데 번식을 하는 동물은 진화과정에서 살아남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이같이 진단한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집단 수준에서 번식을 조절할 수 있는 동물이 살아남는다'고 주장한 윈 에드워즈 교수의 이론과 현대의 이론을 비교해 설명했다. 집단이 개체 수를 조절한다는 주장은 조지 윌리엄스, 리처드 도킨스 등 학자들에 의해 반박된다는 의미다.
최 교수는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내가 과연 애를 키워낼 수 있겠느냐는 문제를 한 개인의 입장에서 굉장히 심각하게 고민하는 상황"이라며 "그 고민 끝에도 애를 낳는 분들은 제가 보기엔 계산이 안 되시는 분들"이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하지만 최 교수는 이어 "동시에 그분들은 애국자시다. 힘들 거 뻔히 알면서도 그래도 나는 아이를 낳아서 기르고 그 행복을 누려보겠다고 과감히 출산을 하시는 분들은 결국은 애국자"라며 "대한민국 사회에서 애를 낳아서 기른다는 것은 아무리 계산을 해봐도 결코 현명한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또 "상황만 좋아지면 출산을 하게 되어있다"며 "번식을 못 하게 막는 것이 무지 어려운 일이고 번식을 하게 내버려 두는 것은 매우 쉬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이 나라에 아이만 낳아놓으면 아이가 너무나 잘 크고, 우리는 부모로서 그 잘 크는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행복한 가족을 이룰 수 있겠다는 그림이 그려져야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지난 23일 최 교수는 유튜브채널 '최재천의 아마존'에 "대한민국에서 아이를 낳는 사람은 이상한 겁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서 그는 "요즘 사람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최 교수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아이를 낳는 사람은 바보다. 머리가 나쁘면, 또 아이큐가 두 자리가 안 돼서 아이를 낳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지금 대한민국의 저출산 현상은 진화생물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아주 지극히 당연한 진화적 적응 현상"이라며 "주변에 먹을 것이 없고 숨을 곳이 없는데 번식을 하는 동물은 진화과정에서 살아남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이같이 진단한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집단 수준에서 번식을 조절할 수 있는 동물이 살아남는다'고 주장한 윈 에드워즈 교수의 이론과 현대의 이론을 비교해 설명했다. 집단이 개체 수를 조절한다는 주장은 조지 윌리엄스, 리처드 도킨스 등 학자들에 의해 반박된다는 의미다.
최 교수는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내가 과연 애를 키워낼 수 있겠느냐는 문제를 한 개인의 입장에서 굉장히 심각하게 고민하는 상황"이라며 "그 고민 끝에도 애를 낳는 분들은 제가 보기엔 계산이 안 되시는 분들"이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하지만 최 교수는 이어 "동시에 그분들은 애국자시다. 힘들 거 뻔히 알면서도 그래도 나는 아이를 낳아서 기르고 그 행복을 누려보겠다고 과감히 출산을 하시는 분들은 결국은 애국자"라며 "대한민국 사회에서 애를 낳아서 기른다는 것은 아무리 계산을 해봐도 결코 현명한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또 "상황만 좋아지면 출산을 하게 되어있다"며 "번식을 못 하게 막는 것이 무지 어려운 일이고 번식을 하게 내버려 두는 것은 매우 쉬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이 나라에 아이만 낳아놓으면 아이가 너무나 잘 크고, 우리는 부모로서 그 잘 크는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행복한 가족을 이룰 수 있겠다는 그림이 그려져야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