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1%로 올리면서 가계의 빚 상환 부담이 커지게 됐다. 한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모습.   /김영우 기자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1%로 올리면서 가계의 빚 상환 부담이 커지게 됐다. 한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모습. /김영우 기자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1%로 인상하면서 은행 대출 금리가 더 뛸 가능성이 높아졌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규제로 이미 대출 금리가 훌쩍 높아진 상황에서 가계 이자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은행권에선 내년에 신용대출 금리가 최고 연 5%대,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고 연 6%대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은이 내년에도 기준금리를 한두 차례 더 높일 공산이 커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0%대 기준금리’에 유행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기)·빚투(빚내서 투자) 시대가 완전히 저물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담대, 신용대출 금리 더 뛴다

신용대출 年 5%·주담대 6% 임박…'빚투·영끌' 끝났다
25일 현재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는 연 3.58~4.954%다. 올 1월 1일(연 2.5~4.054%)과 비교하면 상·하단이 1%포인트가량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는 올초 연 2.65~3.92%에서 3.4~4.63%로 0.8%포인트가량 높아졌다. 은행 대출 금리가 이처럼 대폭 뛴 건 지난 8월 기준금리 인상(0.25%포인트)과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강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이 시장금리에 반영되면 은행 대출 금리는 더 뛸 가능성이 높다. 은행채 금리와 수신금리 등 은행의 조달금리가 오르면서 대출 금리에 순차적으로 반영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당장 26일부터 예금 금리를 올리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연 0.2~0.4%포인트, 하나은행은 0.25~0.4%포인트 인상한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기준금리 인상분보다 더 큰 폭으로 올라갈 수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금리는 이미 기준금리 인상을 선반영해 오른 반면 주담대는 시장금리 인상폭이 더디게 반영되는 구조인 데다, 은행들이 수신금리를 기준금리 인상폭보다 더 크게 높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내년 기준금리 추가 상승이 관건

한은이 펴낸 ‘9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0.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자들이 부담해야 할 이자 규모는 지난해 말 대비 5조8000억원 늘어난다. 대출자 한 명이 내야 하는 평균 이자는 20만원 늘어난 301만원으로 불어난다. 더욱이 한은이 내년 추가 금리 인상까지 시사하면서 앞으로 은행 대출 금리는 최고 연 5~6%대를 바라보게 될 전망이다.

그동안 초저금리에 익숙하던 대출자들은 이번 금리 인상을 더 크게 체감할 수밖에 없다. 가령 연 1%대 후반의 은행 신용대출이 등장했던 지난해 여름 거액의 대출을 받았다면 내년에는 월 이자 부담액이 두 배 이상으로 뛸 수도 있다. 예컨대 지난해 8월 나이스 기준 개인신용점수가 940점(옛 1등급)인 A씨가 한 대형은행에서 3억원의 주담대와 1억원의 신용대출로 집을 샀다고 가정하면 월 이자 부담액은 80만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후 금리가 조금씩 오르면서 A씨의 이자 부담은 올 1월 88만원, 이날 기준으로는 114만원으로 불었다. 주담대와 신용대출 금리 최저선이 연 5%대로 올라가는 상황을 가정하면 A씨의 이자 부담액은 대출 당시에 비해 두 배로 늘어난 160만원 이상으로 커진다.

“가처분소득 급감…서민층에 더 큰 피해”

한은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이 금융불균형 해소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은 통화정책 정상화 차원”이라며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는 등 금융 불균형 누적을 해결할 필요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금리 상승은 특히 서민들에게 더 큰 고통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2금융권의 대출 금리 상승 속도가 은행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신성환 홍익대 경영대 교수(전 금융연구원장)는 “자산 가격 하락으로 인한 ‘마이너스 자산효과’도 있겠지만, 늘어나는 이자 부담으로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줄어드는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며 “최근 인플레이션은 가격(비용 상승)이 견인하고 있는데, 여기서 더 금리가 올라가면 경제주체들의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금리 인상은) 코로나19 시기 명목소득을 늘리지 못한 저소득층에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촘촘한 서민금융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대훈/김익환/빈난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