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만 살고 싶다"…軍서 화이자 맞고 희소병 걸린 스무살 장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뒤 희소병에 걸려 조기 전역하게 된 20세 장병의 사연이 전해져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25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올 1월 입대해 강원도 육군 11사단에 배치된 김성욱 일병(20)은 지난 6월 초 화이자 백신을 맞고 자가면역성 뇌염에 걸려 투병해왔다. 군생활이 어렵다는 국군수도병원의 진단에 따라 김 일병은 조기 전역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자가면역성 뇌염은 세균과 박테리아 등을 방어해야 하는 면역세포가 되레 자기 몸의 뇌를 공격해 발생하는 극 희귀 질환이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치료 기간이 최소 2~3년에서 평생 지속될 수도 있다고 한다.
백신 접종 당시에도 김 일병의 건강 상태는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올 4월과 6월 국군수도병원에서 발목의 철심 제거 수술과 척추신경 차단술을 받고 몸이 온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백신을 맞았다는 것이다. 접종 이후 자가면역성 뇌염이 생기면서 김 일병은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몇달 전까지는 날마다 한 번씩 1분 정도 정신을 잃고 쓰러지기를 거듭했다. 전역해도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어려운 상황이다.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통원치료를 하면서 몸 상태는 많이 호전됐지만 이달 들어서도 3번 쓰러졌다. 이달 22일에는 병원 외래진료를 가다가 골목길에서 쓰러졌는데, 인적이 드문 곳이어서 혼자서 깨어 일어나니 상의가 찢어지고 온몸에 먼지가 묻어있었다고 김 일병은 설명했다.
매체에 따르면 김 일병은 이번 주 말 전역 결정으로 다음 달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국군수도병원이 지난 9월 "김 일병이 심신장애 진단을 받아 군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군의 대응이다. 멀쩡하던 젊은 청년이 군 생활 중 희소병에 걸려 제대 이후에도 사실상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상황인 데도 군에서는 구체적인 보상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는 "육군본부와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수도병원 등이 직접 당사자들인데 취재 결과 김 일병의 전역 후 치료 등 보상대책과 관련해 서로 제대로 된 협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김 일병은 "지금 다 포기하고 싶고 그만 살고 싶다"며 "제대하더라도 직장에 취직할 수 있을지 모르겠고, 일을 못하게 되면 병원비도 어떻게 마련할지 막막하다. 보상금 이런 것은 다 필요 없고 보훈대상자만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군에서 지원방안을 마련한다더니 아무런 조치도 없이 전역시킨다. 믿음이 안생긴다. 어제도 부모님이 울면서 건강하게 살자고 말하는데 마음이 너무 아팠지만 약한 모습 보여드리기 싫어 눈물을 참았다"며 "이제 20살인데 내 상황이 너무 슬프다"고 말했다.
국군의무사령부 관계자는 "김 일병이 전역하더라도 규정에 따라 6개월 동안은 현역처럼 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이후 보상심의와 국가보훈처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보훈대상 신청 등은 육본에서 심의해 결정한다"고 말했다.
신민경 기자 radio@hankyung.com
25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올 1월 입대해 강원도 육군 11사단에 배치된 김성욱 일병(20)은 지난 6월 초 화이자 백신을 맞고 자가면역성 뇌염에 걸려 투병해왔다. 군생활이 어렵다는 국군수도병원의 진단에 따라 김 일병은 조기 전역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자가면역성 뇌염은 세균과 박테리아 등을 방어해야 하는 면역세포가 되레 자기 몸의 뇌를 공격해 발생하는 극 희귀 질환이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치료 기간이 최소 2~3년에서 평생 지속될 수도 있다고 한다.
백신 접종 당시에도 김 일병의 건강 상태는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올 4월과 6월 국군수도병원에서 발목의 철심 제거 수술과 척추신경 차단술을 받고 몸이 온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백신을 맞았다는 것이다. 접종 이후 자가면역성 뇌염이 생기면서 김 일병은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몇달 전까지는 날마다 한 번씩 1분 정도 정신을 잃고 쓰러지기를 거듭했다. 전역해도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어려운 상황이다.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통원치료를 하면서 몸 상태는 많이 호전됐지만 이달 들어서도 3번 쓰러졌다. 이달 22일에는 병원 외래진료를 가다가 골목길에서 쓰러졌는데, 인적이 드문 곳이어서 혼자서 깨어 일어나니 상의가 찢어지고 온몸에 먼지가 묻어있었다고 김 일병은 설명했다.
매체에 따르면 김 일병은 이번 주 말 전역 결정으로 다음 달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국군수도병원이 지난 9월 "김 일병이 심신장애 진단을 받아 군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군의 대응이다. 멀쩡하던 젊은 청년이 군 생활 중 희소병에 걸려 제대 이후에도 사실상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상황인 데도 군에서는 구체적인 보상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는 "육군본부와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수도병원 등이 직접 당사자들인데 취재 결과 김 일병의 전역 후 치료 등 보상대책과 관련해 서로 제대로 된 협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김 일병은 "지금 다 포기하고 싶고 그만 살고 싶다"며 "제대하더라도 직장에 취직할 수 있을지 모르겠고, 일을 못하게 되면 병원비도 어떻게 마련할지 막막하다. 보상금 이런 것은 다 필요 없고 보훈대상자만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군에서 지원방안을 마련한다더니 아무런 조치도 없이 전역시킨다. 믿음이 안생긴다. 어제도 부모님이 울면서 건강하게 살자고 말하는데 마음이 너무 아팠지만 약한 모습 보여드리기 싫어 눈물을 참았다"며 "이제 20살인데 내 상황이 너무 슬프다"고 말했다.
국군의무사령부 관계자는 "김 일병이 전역하더라도 규정에 따라 6개월 동안은 현역처럼 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이후 보상심의와 국가보훈처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보훈대상 신청 등은 육본에서 심의해 결정한다"고 말했다.
신민경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