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부동산세 폭탄’에 금리 인상까지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시장에 2주 연속 매도 심리가 매수 심리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도 이번주 약 7개월 만에 매수자 우위 시장으로 전환했다.
26일 한국부동산원 11월 넷째주 주간아파트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8.6으로, 지난주(99.6)에 이어 1.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 회원 중개업소 설문 및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이다. 지수가 100보다 아래로 낮아질수록 시장에 매도 심리가 매수 심리보다 강하다는 뜻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 약 7개월 만에 처음 기준선 아래로 내려간 데 이어 2주 연속 매도세가 더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강화 및 금리 인상, 역대급 종부세 폭탄까지 겹치면서 매수세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다섯 개 권역 중 도심권(용산·종로·중구)을 제외한 나머지 권역의 매매수급지수가 모두 기준선 아래를 기록했다.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구)은 서울에서 가장 낮은 97.4를 기록하며 4주 연속 기준선을 밑돌았다.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은 지난주 99.5에서 98.2로, 서남권(양천·강서·구로·영등포·동작·관악구)은 99.7에서 98.2로 내려왔다. 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구 등 8개 구가 포함된 동북권은 지난주 99.4에서 이번주 99.3으로 소폭 하락했다.
이번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8로, 지난해 10월 둘째주(100.4) 이후 58주 만에 가장 낮게 조사됐다. 수도권은 100.0으로 지난주(100.6) 대비 0.6포인트 하락해 기준선에 다다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