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두환 정권 때 산 칠레 농장에 태양광 발전소 짓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치된 35만평 땅에 태양광 사업
칠레 2050까지 신재생 70% 목표
국내 기업 탄소배출권 확보도 관심거리
칠레 2050까지 신재생 70% 목표
국내 기업 탄소배출권 확보도 관심거리
정부가 1982년 농민 이주를 목적으로 사놓은 칠레 농장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약 1500억원을 투자해 30년간 7300억원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칠레 태양광 사업 타당성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칠레 마울레주 떼노시에 있는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소유 35만평 부지의 농장에 태양광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땅은 칠레 정부의 농업이민 불허로 40여년간 사실상 방치됐다.
해외 자산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작년부터 추진된 이 사업은 지난 4월 사업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3㎿규모 태양광 발전소 2기(1단계)를 먼저 짓고, 140㎿발전소 1기(2단계)를 이어서 지을 계획이다. 1단계 사업에선 전기 판매수익(2230만 달러)과 탄소배출권 수익(780만 달러)을 포함해 총 3010만 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는 전기판매(4억530만달러)와 탄소배출권(1억8905만달러)을 합해 총 5억9435만 달러의 수익이 기대된다. 준공 후 30년간 총 6억2445만 달러(7360억)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셈이다. 투자비는 공사비 등을 포함해 총 1550억원 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주관사가 자본금(30%)를 대고, 나머지는 차입해 조달할 계획이다. 연간 수익률이 약 15%에 달하는 알짜 사업이라는 게 정부의 조사 결과다.
칠레는 일사량이 풍부해 태양광 발전에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국가로 손꼽힌다. 중남미 국가중 신재생 투자규모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칠레는 76647GWh의 에너지를 생산했는데, 석탄(39%)의 비중이 가장 높다. 그 다음 수력(30%), 천연가스(17%), 풍력(5%), 태양광(5%) 순이다. 칠레 정부는 수력·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발전량을 2035년까지 60%, 2050년까지 70%까지 늘리기로 했다.
한국 정부가 이번 사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신재생 랜드마크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면, 향후 쏟아질 남미의 신재생 프로젝트에 국내 기업의 참여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 사업엔 도화엔지니어링, 한화큐셀, OCI파워 등이 참여할 계획이다.
또 이번 프로젝트가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이라는 점도 관심거리다. CDM은 탄소를 절감한 만큼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아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제도다. 칠레는 장기간에 걸쳐 4023MW를 CDM사업을 통해서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국내 사업자가 이번 사업을 통해서 탄소배출권을 얻으면 국내 기업들의 탄소저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성공적인 태양광 사업 경험을 쌓으면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칠레 사업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지훈/정의진 기자
29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칠레 태양광 사업 타당성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칠레 마울레주 떼노시에 있는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소유 35만평 부지의 농장에 태양광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땅은 칠레 정부의 농업이민 불허로 40여년간 사실상 방치됐다.
해외 자산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작년부터 추진된 이 사업은 지난 4월 사업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3㎿규모 태양광 발전소 2기(1단계)를 먼저 짓고, 140㎿발전소 1기(2단계)를 이어서 지을 계획이다. 1단계 사업에선 전기 판매수익(2230만 달러)과 탄소배출권 수익(780만 달러)을 포함해 총 3010만 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는 전기판매(4억530만달러)와 탄소배출권(1억8905만달러)을 합해 총 5억9435만 달러의 수익이 기대된다. 준공 후 30년간 총 6억2445만 달러(7360억)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셈이다. 투자비는 공사비 등을 포함해 총 1550억원 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주관사가 자본금(30%)를 대고, 나머지는 차입해 조달할 계획이다. 연간 수익률이 약 15%에 달하는 알짜 사업이라는 게 정부의 조사 결과다.
칠레는 일사량이 풍부해 태양광 발전에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국가로 손꼽힌다. 중남미 국가중 신재생 투자규모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칠레는 76647GWh의 에너지를 생산했는데, 석탄(39%)의 비중이 가장 높다. 그 다음 수력(30%), 천연가스(17%), 풍력(5%), 태양광(5%) 순이다. 칠레 정부는 수력·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발전량을 2035년까지 60%, 2050년까지 70%까지 늘리기로 했다.
한국 정부가 이번 사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신재생 랜드마크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면, 향후 쏟아질 남미의 신재생 프로젝트에 국내 기업의 참여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 사업엔 도화엔지니어링, 한화큐셀, OCI파워 등이 참여할 계획이다.
또 이번 프로젝트가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이라는 점도 관심거리다. CDM은 탄소를 절감한 만큼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아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제도다. 칠레는 장기간에 걸쳐 4023MW를 CDM사업을 통해서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국내 사업자가 이번 사업을 통해서 탄소배출권을 얻으면 국내 기업들의 탄소저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성공적인 태양광 사업 경험을 쌓으면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칠레 사업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지훈/정의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