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 놀란 한은…"올해 소비자물가 2.3% 넘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1월 금리인상 가능성 커져
한국은행이 11월 소비자물가가 3.7%를 기록하자 올해 물가가 전망치(2.3%)를 웃돌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25일 발표한 전망치를 일주일 만에 다시 수정할 만큼 물가 오름폭이 크다는 뜻이다. 인플레이션 조짐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 조사국은 2일 발표한 '최근 소비자물가 동향에 대한 평가' 보고서에서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월 수준(3.2%)을 웃돌 것으로 보았지만 예상보다 상승폭이 더 컸다"며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월 전망한 수준(2.3%)을 다소 웃돌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지난달 25일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서 올해 소비자물가를 종전 2.1%에서 2.3%로 상향조정했다. 하지만 일주일 만에 이를 웃돌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이날 통계청은 11월 소비자물가가 작년 동월 대비 3.7%를 올랐다고 발표했다. 2011년 12월(4.2%) 이후 9년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석유제품과 농축산물 가격이 고공행진한 데다 내구재 섬유제품 외식 등 가격의 수요 압력이 컸다"고 밝혔다. 11월에 석유제품(35%) 채소(9.3%) 축산물(15.0%) 등의 물가가 큰 폭 뛰었다.
한은은 "최근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와 글로벌 공급병목이 심화·장기화될 경우 국내에서도 물가상승압력이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다"며 "향후 인플레이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치솟는 물가를 억제하기 위해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총재는 지난달 25일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1%로 인상한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내년 1분기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내년 금통위가 열리는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물가 상승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진 만큼 인상 시점이 2월보다는 1월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많아졌다. 이 총재가 이달 중순 열리는 한은의 물가설명회를 통해 인상 시점을 더 명확하게 제시할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도 이 같은 금리인상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오미크론이 현재 알려진 것처럼 치사율이 낮다면 경제주체들의 자발적 외부활동 축소로 경기둔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기준금리 인상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한은 조사국은 2일 발표한 '최근 소비자물가 동향에 대한 평가' 보고서에서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월 수준(3.2%)을 웃돌 것으로 보았지만 예상보다 상승폭이 더 컸다"며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월 전망한 수준(2.3%)을 다소 웃돌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지난달 25일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서 올해 소비자물가를 종전 2.1%에서 2.3%로 상향조정했다. 하지만 일주일 만에 이를 웃돌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한은은 "최근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와 글로벌 공급병목이 심화·장기화될 경우 국내에서도 물가상승압력이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다"며 "향후 인플레이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치솟는 물가를 억제하기 위해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총재는 지난달 25일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1%로 인상한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내년 1분기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내년 금통위가 열리는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물가 상승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진 만큼 인상 시점이 2월보다는 1월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많아졌다. 이 총재가 이달 중순 열리는 한은의 물가설명회를 통해 인상 시점을 더 명확하게 제시할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도 이 같은 금리인상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오미크론이 현재 알려진 것처럼 치사율이 낮다면 경제주체들의 자발적 외부활동 축소로 경기둔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기준금리 인상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